五里霧中 : 오리무중 ~ 養虎遺患 : 양호유환
五里霧中 : 오리무중
(五 : 다섯 오 里 : 마을 리 霧 : 안개 무 中 : 가운데 중)
짙은 안개 속에서 길을 찾기 어려운 것과 같이, 일의 갈피를 잡기 어려움.
오리무중 유래 중국 후한시대에 장해(張楷)라는 학자가 있었다. 그는 학문에 뛰어나 제자만 해도 수백 명에 이르렀고, 유명한 학자들도 그를 만나보기 위해 모여들었다. 그런데도 장해는 한 번도 벼슬길에 오르지 않은 채, 고향에 있는 홍농산이라는 계곡에 들어가 혼자 살았다. 그러자 많은 학자들이 그를 뒤따라 홍농산 기슭에 사는 바람에 마을이 생길 정도였다. 그런데 이 장해는 학문만이 아니라 도술에도 뛰어나 5리까지 안개를 일으킬 수도 있었다. 나라에서 그에게 벼슬하라고 사신을 보내면 그는 5리까지 안개를 일으켜 그 속에 숨어버리곤 했다. 여기서 오리무(五里霧), 즉 5리의 안개라는 말이 생겨났다. 오리무중(五里霧中)은 이처럼 처음에는 오리무였으나, 5리나 되는 안개 속에〔中〕 길을 잃으면 방향을 전혀 분간할 수 없다는 데서 훗날 ‘가운데 중(中)’이 붙은 것이다. 원문 출처 및 전문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54093&categoryId=50809&cid=50802 |
寤寐不忘 : 오매불망
(寤 : 깰 오 寐 : 잠잘 매 不 : 아닐 불 忘 : 잊을 망)
자나깨나 잊지 못함.
吾鼻三尺 : 오비삼척
(吾 : 나 오 鼻 : 코 비 三 : 석 삼 尺 : 자 척)
내 코가 석 자. 곧 곤경에 처하여 자기 일도 감당할 수 없는데 어찌 남을 도울 수가 있겠는가의 뜻.
吾不關焉 : 오불관언
(吾 : 나 오 不 : 아니 불 關 : 빗장 관 焉 : 어찌 언)
나는 상관하지 아니함.
烏飛梨落 : 오비이락
(烏 : 까마귀 오 飛 : 날 비 梨 : 배나무 이 落 : 떨어질 락)
우연한 일치로 남의 의심을 받게 됨.
傲霜孤節 : 오상고절
(傲 : 거만할 오 霜 : 서리 상 孤 : 외로울 고 節 : 마디 절)
서릿발 날리는 추운 때에도 굴하지 않고 피는 국화를 말함.
五十步百步 : 오십보백보
(五 : 다섯 오 十 : 열 십 步 : 걸음 보 百 : 일백 백 步 : 걸음 보)
양자 간에 차이는 있으나 본질적으로 같다는 뜻.
오십보백보 유래 옛날에 중국 위(魏)나라의 혜왕(惠王)이 당면 과제에 관하여 맹자에게 물었다. 그때 맹자가, 싸움에 져서 50보 도망간 자와 100보 도망간 자가 있다고 할 때 결국 도망가기는 마찬가지였다는 예를 들어 설명했던 데서 비롯된 말이다. 원문 출처 및 전문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54047&categoryId=50809&cid=50802 |
吳越同舟 : 오월동주
(吳 : 나라이름 오 越 : 넘을 월 同 : 한 가지 동 舟 : 배 주)
서로 적대적인 관계에 있는 사람이 같은 경우에 처함.
烏合之卒 : 오합지졸
(烏 : 까마귀 오 合 : 합할 합 之 : 갈 지 卒 : 군사 졸)
임시로 모집하여 훈련이 없는 병사.
如履薄氷 : 여리박빙
(如 : 같을 여 履 : 신 리 薄 : 엷을 박 氷 : 얼음 빙)
살얼음을 밟는 것과 같음. 즉 처세에 극히 조심함을 이르는 말.
如反掌 : 여반장
(如 : 같을 여 反 : 되돌릴 반 掌 : 손바닥 장)
손바닥을 뒤집는 것처럼 매우 쉽다는 뜻.
如世推移 : 여세추이
(如 : 같을 여 世 : 대 세 推 : 변천 추 移 : 옮길 이)
세상이 변하는 대로 따라 변함.
易地思之 : 역지사지
(易 : 바꿀 역 地 : 땅 지 思 : 생각할 사 之 : 갈이지)
처지를 바꾸어서 생각하라는 말.
戀慕之情 : 연모지정
(戀 : 사모할 연 慕 : 그리워할 모 之 : 갈 지 情 : 정 정)
사랑하여 그리워하는 정.
緣木求魚 : 연목구어
(緣 : 가선 연 木 : 나무 목 求 : 구할 구 魚 : 고기 어)
불가능한 일을 하고자 할 때 비유하는 말. = 산에서 물고기 잡기
連戰連勝 : 연전연승
(連 : 잇닿을 연 戰 : 싸울 전 連 : 잇다을 연 勝 : 이길 승)
싸울 때마다 빈번히 이김.
炎凉世態 : 염량세태
(炎 : 불탈 염 凉 : 추울 냉 世 : 세상 세 態 : 모양 태)
권세가 있을 때는 붙좇고, 권세가 없어지면 푸대접하는 세속의 인심.
拈華微笑 : 염화미소
(拈 : 집을 염 華 : 꽃 화 微 : 작을 미 笑 : 웃을 소)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함. = 拈華示衆(염화시중)
漁父之利 : 어부지리
(漁 : 고기 잡을 어 父 : 아비 부 之 : 갈 지 利 : 날카로울 리)
두 사람이 이해관계로 다투는 사이에 엉뚱한 사람이 이익을 봄.
語不成說 : 어불성설
(語 : 말씀 어 不 : 아닐 불 成 : 이룰 성 說 : 말씀 설)
하는 말이 조금도 사리에 맞지 아니함. 말이 안됨.
言語道斷 : 언어도단
(言 : 말씀 언 語 : 말씀 어 道 : 길 도 斷 : 끊을 단)
너무나 어처구니가 없어서 할 말이 없음.
言中有骨 : 언중유골
(言 : 말씀 언 中 : 가운데 중 有 : 있을 유 骨 : 뼈 골)
예사로운 말 속에 깊은 뜻이 있는 것을 말함.
言則是也 : 언즉시야
(言 : 말씀 언 則 : 곧 즉 是 : 옳을 시 也 : 어조사 야)
말이 사리에 맞음.
曖昧模糊 : 애매모호
(曖 : 가릴 애 昧 : 새벽 매 模 : 법 모 糊 : 풀 호)
사물의 이치가 희미하고 분명치 않음.
哀而不悲 : 애이불비
(哀 : 슬플 애 而 : 말이을 이 不 : 아니 불 悲 : 슬플 비)
속으로는 슬퍼하지만 겉으로는 슬픔을 나타내지 아니함.
藥房甘草 : 약방감초
(藥 : 약 약 房 : 방 방 甘 : 달 감 草 : 풀 초)
무슨 일이나 빠짐없이 끼임. 반드시 끼어야 할 사물.
弱肉强食 : 약육강식
(弱 : 약할 약 肉 : 고기 육 强 : 강할 강 食 : 먹을 식)
약한 놈이 강한 놈에게 먹힘.
羊頭狗肉 : 양두구육
(羊 : 양 양 頭 : 머리 두 狗 : 개 구 肉 : 고기 육)
양의 고기를 내걸고 실상은 개고기를 팖. 겉과 속이 다름.
= 양질호피(羊 : 양 양 質 : 바탕 질 虎 : 범 호 皮 : 가죽 피)
梁上君子 : 양상군자
(梁 : 들보 양 上 : 윗 상 君 : 임금 군 子 : 아들 자)
들보 위에 있는 군자라는 뜻으로 도둑을 미화(美化)한 말.
兩手兼將 : 양수겸장
(兩 : 두 양 手 : 손 수 兼 : 겸할 겸 將 : 장수 장)
하나의 표적에 대하여 두 방향에서 공격해 들어감.
兩者擇一 : 양자택일
(兩 : 두 양 者 : 놈 자 擇 : 가릴 택 一 : 한 일)
둘 가운데 하나를 가려잡음.
養虎遺患 : 양호유환
(養 : 기를 양 虎 : 호랑이 호 遺 : 끼칠 유 患 : 근심 환)
호랑이를 길러 근심을 남김. 스스로 화를 자초했다는 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