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언/사자성어&고사성어

有口無言 : 유구무언 ~ 韋編三絶 : 위편삼절

진02 2015. 6. 5. 05:21

有口無言 : 유구무언

(有 : 있을 유 口 : 입 구 無 : 없을 무 言 : 말씀 언)

입은 있으나 말이 없다는 뜻으로 변명을 못함을 이름.

 

類萬不同 : 유만부동

(類 : 무리 유 萬 : 일만 만 不 : 아니 불 同 : 같을 동)

모든 것이 서로 같지 아니함.

 

有名無實 : 유명무실

(有 : 있을 유 名 : 이름 명 無 : 없을 무 實 : 열매 실)

이름뿐이고 실상은 없음.

 

有備無患 : 유비무환

(有 : 있을 유 備 : 갖출 비 無 : 없을 무 患 : 근심 환)

미리 준비가 있으면 뒷걱정이 없다는 뜻.

 

唯我獨尊 : 유아독존

(唯 : 오직 유 我 : 나 아 獨 : 홀로 독 尊 : 존귀할 존)

이 세상에는 나보다 더 높은 사람이 없다고 뽐냄.

 

有耶無耶 : 유야무야

(有 : 있을 유 耶 : 어조사 야 無 : 없을 무 耶 : 어조사 야)

있는지 없는지 모르게 희미함.

 

流言蜚語 : 유언비어

(流 : 흐를 류 言 : 말씀 언 蜚 : 바뀌 비 語 : 말씀 어)

근거 없는 좋지 못한 말.


優柔不斷 : 우유부단

(優 : 넉넉할 우 柔 : 부드러울 유 不 : 아닌가 부 斷 : 끊을 단)

망설이기만 하고 결단하지 못함.

 

牛耳讀經 : 우이독경

(牛 : 소 우 耳 : 귀 이 讀 : 읽을 독 經 : 날 경)

쇠(소) 귀에 경 읽기.

 

雨後竹筍 : 우후죽순

(雨 : 비 우 後 : 뒤 후 竹 : 대 죽 筍 : 죽순 순)

비 온 뒤에 죽순이 많이 솟아나는 것처럼 어떤 일이 일시에 많이 생김의 비유.

 

遠禍召福 : 원화소복

(遠 : 멀 원 禍 : 재화 화 召 : 부를 소 福 : 복 복)

화를 멀리하고 복을 불러들임.

 

月態花容  : 월태화용

(月 : 달 월 態 : 모양 태 花 : 꽃 화 容 : 얼굴 용)

달 같은 태도와 꽃 같은 얼굴.

 

危機一髮 : 위기일발

(危 : 위태할 위 機 : 틀 기 一한 일 髮 : 머리털 발)

거의 여유가 없는 위급한 순간.

 

韋編三絶 : 위편삼절

(韋 : 다룸가죽 위 編 : 엮을 편 三 : 석 삼 絶 : 끊을 절)

공자(孔子)가 주역(周易)을 여러 번 읽어 그 책을 매었던 가죽끈이 세 번이나 끊어졌다는 데서 온 말로, 책을 많이 읽음을 비유함. 

<유사어 수불석권(手不釋卷)>




위편삼절 유래



공자(孔子)가 만년에 주역(周易)을 읽음에 어찌나 읽고 또 읽고 했던지 대쪽을 엮은 가죽 끈이 세 번이나 끊어지니 말하기를, "내가 수년 동안 틈을 얻어서 이와 같이 되었으니, 내가 주역에 있어서는 곧 환하니라."공자(孔子) 같은 성인도 학문(學問) 연구(硏究)를 위해서는 피나는 노력을 했다는 것이다. 논어에는 공자(孔子)가 '좀 더 일찍 주역을 연구(硏究)했더라면 많은 사람에게 허물을 적게 할 수 있었을 걸......'하고 주역 연구(硏究)를 더 못한 것을 아쉬워하는 장면도 나온다. 공자(孔子)의 위대한 문화적 업적 가운데는 이 '위편삼절' 같은 피나는 노력이 숨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공자(孔子)는 또 논어에서 '나는 호학(好學)하다가 발분(發憤)하여 밥 먹는 것도 잊고, 즐거움으로 근심마저 잊고, 세월이 흘러 몸이 늙어 가는 것도 몰랐다'라고 했다. 


원문 출처 및 전문 : http://hanja.naver.com/word?query=%E9%9F%8B%E7%B7%A8%E4%B8%89%E7%B5%B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