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건대'인가, '생각컨대'인가
: 무성음 뒤에서는 '하'가 통째로 탈락되나 유성음 뒤에서는 '하'에서 'ㅏ'만 탈락되고 'ㅎ'은 살아 있음
(가) 거북하지/거북지, 생각하건대/생각건대, 넉넉하지/넉넉지, 섭섭하지/섭섭지, 깨끗하지/ 깨끗지, 못하지/못지
(나) 간편하지/간편치, 다정하지/다정치, 청하건대/청컨대, 무심하지/무심치, 실천하도록/실 천토록, 사임하고자/사임코자
※ 유성음: 모음과 'ㄴ, ㅁ, ㄹ, ㅇ'. 무성음: 'ㄴ, ㅁ, ㄹ, ㅇ'을 제외한 자음, 예컨대 'ㅂ, ㅅ, ㄱ' 등.
'-이에요/-이어요, -예요/-여요'의 구분
(가) 뭣이에요, 책이에요/책이어요 <받침 있는 말 뒤>
(나) 뭐예요(*뭐이에요), 저예요(*저이에요)/저여요(*저이어요), 집에 갈 거예요. <받침 없는 말 뒤>
※ '-이어요'는 계사(또는 서술격조사) '이다'의 어간 '이-'에 종결어미 '-어요'가 결합한 말이고 '-이에요'는 '-이어요'가 변한 말이다. 그러나 요즘에는 '-이에요'가 '-이어 요'보다 우세하게 쓰여 '-이에요'와 '-이어요'를 복수 표준어로 처리하였다. 그런데 이 말 은 받침 없는 체언 뒤에 올 때는 항상 그 준말인 '-예요/-여요' 꼴로만 쓰인다. 이런 점을 고려하여 '이에요/이어요'와 '예요/여요'는 조사로 볼 수도 있겠다. '저이에요'가 쓰이지 않 고 '저예요'만 쓰인다면 그리고 '예요'를 어미로 인정한다면 체언 바로 뒤에 어미가 온다고 기술하여야 하는 문제가 생기기 때문이다.
'그러다'와 '그렇다'의 구분: '그러다'는 동사, '그렇다'는 형용사
(가) 그러다(←그리하다) 그러고, 그러지; 그러니, 그런; 그래, 그랬다
(나) 그렇다(←그러하다) 그렇고, 그렇지; 그러니, 그런; 그래, 그랬다
※ '그러고 나서'가 맞고 '그리고 나서'는 '그리다'라는 용언이 따로 없으므로 틀림.
※ 어미의 종류
자음어미: -고, -게, -지, -소, -겠-, …
모음어미: -아/-어, -아서/-어서, -았-/-었-, … ⇒ 앞말 끝음절의 모음이 양성인가, 음성인 가에 따라 교체
매개모음어미: -(으)니, -(으)면, -(으)시-, -ㄴ/-은, -ㄹ/-을, … ⇒ 앞말 끝음절이 받침이 있는가 없는가에 따라 '으' 있는 어미와 '으' 없는 어미로 교체
'-던'과 '-든'의 구분: '-던'은 과거의 뜻, '-든'은 선택의 뜻
(가) 어제 집에 왔던 사람이 민주 신랑감이래.
그 날 저녁 누가 왔던지 생각이 납니까?
얼마나 울었던지 눈이 퉁퉁 부었다.
(나) 배든(지) 사과든(지) 마음대로 먹어라.
가든(지) 오든(지) 알아서 하시오.
'-로서'와 '-로써'의 구분: '-로서'는 자격, '-로써'는 수단이나 도구
(가) -로서: 교육자로서 일생을 보내다 / 나로서는 할 말이 없다 / 부모로서 할 일 / 교사 로서 그런 말을 하다니 / 친구로서 충고한다 / 모든 싸움은 너로서 시작되었다
(나) -로써: 도끼로(써) 나무를 찍다 / 칼로(써) 과일을 깎다 / 눈물로(써) 호소하다 ※ '로 써'에서 '써'는 생략이 가능하다.
'-함으로(써)'와 '-하므로'의 구분: '-으로'는 조사, '-(으)므로'는 어미
(가) 그는 열심히 공부함으로(써) 부모님의 은혜에 보답하고자 한다. / 동호인 회장에게 일 괄 배부하여 관리케 {함으로써, 하므로써} 사용과 보존에 철저를 기하고자 합니다.
※ "수 단"을 나타내는 조사 '(으)로'는 그 뜻을 강조할 경우에 그 뒤에 조사 '써'가 붙는다.
(나) 그는 부지런하므로 잘 산다. / 그는 매일같이 열심히 공부하므로(*하므로써) 시험에 꼭 합격할 것이다. / 훌륭한 학자이므로 많은 사람들에게 존경을 받는다.
※ '-(으)므로'는 "이유, 까닭"을 나타내는 어미로서 그 뒤에 조사 '써가' 붙을 수 없다.
'만듦, 이끎'인지 '만듬, 이끔'인지?
(가) 만들다/만듦, 이끌다/이끎 ※ 'ㄹ'로 끝나는 말의 명사형은 '-ㄻ' 꼴임. 다만 '삶, 앎' 은 파생명사 용법도 지님.
(나) 울음, 얼음 <파생명사> ※ 'ㄹ'로 끝나는 말의 파생명사는 대체로 '-ㄹ음' 꼴임.
(나) 욺, 얾 <명사형> ※ "강이 꽁꽁 얾에 따라 …"
'상식 > 맞춤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문(諮問)과 주책(<主着) (0) | 2015.06.26 |
---|---|
'-데'와 '-대'의 구분 (0) | 2015.06.26 |
회계 연도, 회계 년도 (0) | 2015.06.18 |
있다가와 이따가 (0) | 2015.06.18 |
숫소⇒ 수소, 숫병아리⇒ 수평아리 (0) | 2015.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