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명언/사자성어&고사성어

(24)
朝三暮四 : 조삼모사 ~ 左衝右突 : 좌충우돌 朝三暮四 : 조삼모사(朝 : 아침 조 三 : 석 삼 暮 : 저물 모 四 : 넉 사)눈앞에 당장 나타나는 차별만을 알고 그 결과가 같음은 모르는 것을 비유하는 말. 鳥足之血 : 조족지혈(鳥 : 새 조 足 : 발 족 之 : 갈 지 血 : 피 혈 )새 발의 피. 즉 필요한 양에 비해 너무도 적은 보잘 것 없는 분량. 左顧右眄 : 좌고우면(左 : 왼 좌 顧 : 돌아볼 고 右 : 오른 우 眄 : 애꾸눈 면) 좌우를 자주 둘러본다는 뜻으로 무슨 일에 얼른 결정을 짓지 못함을 비유함. 坐不安席 : 좌불안석(坐 : 않을 좌 不 : 아니 불 安 : 편안할 안 席 : 자리 석) 마음에 불안이나 근심 등이 있어 한자리에 오래 앉아 있지 못함. 坐井觀天 : 좌정관천(坐 : 않을 좌 井 : 우물 정 觀 : 볼 관 天 : 하늘 ..
竹杖芒鞋 : 죽장망혜 ~ 竹馬故友 : 죽마고우 竹杖芒鞋 : 죽장망혜 (竹 : 대 죽 杖 : 지팡이 장 芒 : 까끄라기 망 鞋 : 신 혜) ①대지팡이와 짚신. ②가장 간단한 보행이나 여행의 차림. 衆寡不敵 : 중과부적(衆 : 무리 중 寡 : 적을 과 不 : 아닐 불 敵 : 원수 적) 적은 수의 사람으로써 많은 수의 사람을 대적하지 못한다는 뜻. 衆口難防 : 중구난방(衆 : 무리 중 口 : 입 구 難 : 어려울 난 防 : 둑 방)여러 사람의 말을 막기 어렵다는 뜻. 중구난방 유래 주(周)나라 제10대 여왕(勵王)은 폭군이었다. 정사를 비방하는 자가 있으면 적발해서 죽였다. 더욱이 밀고자를 포상하는 제도를 만들어 충신들이 많이 죽었다. 신하들과 백성들은 공포정치에 질려 말도 제대로 할 수 없게 되었다. 사마천의 『사기』 「주 본기」에 소공(召公)이 충간한..
盡人事待天命 : 진인사대천명 ~ 珍羞盛饌 : 진수성찬 盡人事待天命 : 진인사대천명 (盡 : 다될 진 人 事 : 일 사 待 : 기다릴 대 天 : 하늘 천 命 : 목숨 명)사람으로서 할 수 있는 일을 다하고 나서 천명을 기다림. 塵積爲山 : 진적위산(塵 : 티끌 진 積 : 쌓을 적 爲 : 할 위 山 : 뫼 산) 티끌이 모여 태산. 進退兩難 : 진퇴양난(進 : 나아갈 진 退 : 물러날 퇴 兩 : 두 양 難 : 어려울 난)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어려움. 처지가 난감함. 進退維谷 : 진퇴유곡(進 : 나아갈 진 退 : 물러날 퇴 維 : 바 유 谷 : 골 곡)나아갈 수도 없고 물러설 수도 없음. 어려운 일을 당하여 꼼짝도 못하는 것. = 진퇴양난(進 : 나아갈 진 退 : 물러날 퇴 兩 : 두 양 難 : 어려울 난) 嫉逐排斥 : 질축배척(嫉 : 시기할 질 逐 : 쫓을 ..
千辛萬苦 : 천신만고 ~ 泉石膏肓 : 천석고황 千辛萬苦 : 천신만고(千 : 일천 천 辛 : 매울 신 萬 : 일만 만 苦 : 쓸 고)마음과 힘을 한없이 수고롭게 하여 애를 씀. 天壤之判 : 천양지판(天 : 하늘 천 壤 : 흙 양 之 : 갈 지 判 : 판가름할 판)하늘과 땅 사이와 같은 엄청난 차이. 天佑神助 : 천우신조(天 : 하늘 천 佑 : 도울 우 神 : 귀신 신 助 : 도울 조)하늘이 돕고 신이 도움. 天衣無縫 : 천의무봉(天 : 하늘 천 衣 : 옷 의 無 : 없을 무 縫 : 꿰맬 봉)천사의 옷은 솔기나 바느질한 흔적이 없음. 시가나 문장 따위가 매우 자연스럽게 잘 되어 완미함을 이름. 완전 무결하여 흠이 없음을 이름. 天人共怒 : 천인공노(天 : 하늘 천 人 : 사람 인 共 : 함께 공 怒 : 성낼 노) 하늘과 땅이 함께 분노한다는 뜻. 도저히..
樵童汲婦 : 초동급부 ~ 靑出於藍 : 청출어람 樵童汲婦 : 초동급부(樵 : 땔나무 초 童 : 아이 동 汲 : 길을 급 婦 : 며느리 부) 보통 사람. 草綠同色 : 초록동색(草 : 풀 초 綠 : 초록빛 록 同 : 같을 동 色 : 빛 색) 서로 같은 처지나 같은 부류의 사람들끼리 함께 함을 이름. 焦眉之急 : 초미지급(焦 : 그을릴 초 眉 : 눈썹 미 之 : 갈 지 急 : 급할 급) 눈썹에 불이 불음과 같이 매우 다급한 지경. 初志一貫 : 초지일관(初 : 처음 초 志 : 뜻 지 一 : 한 일 貫 : 꿸 관) 처음 품은 뜻을 한결같이 꿰뚫음. 寸鐵殺人 : 촌철살인(寸 : 마디 촌 鐵 : 쇠 철 殺 : 죽일 살 人 : 사람 인)조그만 쇠붙이로 사람을 죽인다는 말. 곧, 간단한 말로 사물의 가장 요긴한 데를 찔러 듣는 사람을 감동하게 하는 것을 이름. 追遠報..
七去之惡 : 칠거지악 ~ 置之度外 : 치지도외 七去之惡 : 칠거지악(七 : 일곱 칠 去 : 갈 거 之 : 갈 지 惡 : 악할 악) 아내를 내쫓을 7가지 조건, 지부모에 불순, 자식 못나음, 행실, 질투, 병, 말썽, 도둑질. 칠거지악 내용칠출(七出) 또는 칠거라고도 한다. 칠출삼불거(七出三不去)는 중국의 고대로부터 발전한 유교적인 예교(禮敎)로서, 고려 말 이후 왕성하여진 유교적 사회제도의 보급에 따라 조선시대 이혼제도의 근간을 이루게 되었다. 조선왕조 초기에 법제로서 통용한 『대명률(大明律)』에 의하면, “무릇 처를 내보내거나 의절(義絶: 법적으로 규정된 강제적 이혼)할 상황이 없는데도 이혼한 자는 장(杖) 80의 형에 처하고, 처가 칠출의 죄를 범하였으나 삼불거에 해당하는 사항이 있는 자와 이혼한 자는 죄 2등을 감하고 다시 살게 한다. 만일, ..
太平烟月 : 태평연월 ~ 泰然自若 : 태연자약 太平烟月 : 태평연월(太 : 클 태 平 : 평평할 평 烟 : 연기 연 月 : 달 월) 세상이 평화롭고 안락한 때. 免死拘烹 : 토사구팽(免 : 토끼 토 死 : 죽을 사 拘 : 잡을 구 烹 : 삶을 팽) '교토사 주구팽(狡兎死走狗烹)'의 준말로, 토끼가 죽고 나면 토끼를 잡던 사냥개도 필요가 없게 되어 삶아 먹히게 된다는 뜻. 즉, '필요한 때는 쓰고 필요 없을 때는 버리는 야박한 세정(世情)'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兎死狐悲 : 토사호비 (兎 : 토끼 토 死 : 죽을 사 狐 : 여우 호 悲 : 슬플 비) 토끼의 죽음을 여우가 슬퍼한다는 말로, 같은 무리의 불행을 슬퍼한다는 말. 兎營三窟 : 토영삼굴(兎 : 토끼 토 營 : 경영할 영 三 : 석 삼 窟 : 굴 굴) 자신의 안전을 위하여 미리 몇 가지 술책을..
토진간담 ~ 허장성세 토진간담(吐 : 토할 토 盡 : 다될 진 肝 : 간 간 膽 : 쓸개 담) 솔직한 심정을 속임 없이 모두 말함. 파란만장(波 : 물결 파 瀾 : 물결 란 萬 : 일만 만 丈 : 어른 장) 일의 진행에 변화가 심함. 파란중첩(波 : 물결 파 瀾 : 물결 란 重 : 무거울 중 疊 : 겹쳐질 첩)일의 진행에 있어서 온갖 변화나 난관이 많음. 파사현정(破 : 깨뜨릴 파 邪 : 간사할 사 顯 : 나타날 현 正 : 바를 정)그릇된 것을 깨뜨리고 올바르게 바로잡음. 파죽지세(破 : 깨뜨릴 파 竹 : 대 죽 之 勢 : 기세 세)막을 수 없을 정도로 맹렬히 적을 치는 기세. 파죽지세 유래 중국의 삼국시대 때 위(魏)를 이은 진(晋)나라가 오나라를 병탄하려고 할 때의 이야기이다. 당시 진나라의 장군 두예(杜預)는 오나라 공..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