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주식/주식투자의 정석

(129)
참고문헌 참고문헌 주식투자를 하면서 수 많은 책을 읽고 투자원칙과 투자방법을 깨우치게 됐다. 그리고 그렇게 내 자신의 투자에 대한 생각과 철학을 글로 정리하다가 초고를 쓰게 됐다. 참고문헌에 기재되지 않은 책들도 있지만... 여기에 참고문헌이라고 기재한 목록은 2013년에 초고를 완성할 때 즈음하여 기재한 듯하다. 주식투자에 관심이 있는 분이라면 읽어도 무난한 책들이라고 본다. -는 글을 쓰는데 인용한 책을 표시한 것이고, ○는 인용은 하지 않은 책을 표시한 것이다. 주식-조지 C. 셀든, 이경식 역 Human & Books (2006)-필립 피셔, 박정태 역 굿모닝북스 (2005) -메리 버핏·데이비드 클라크, 이은주·이재석 역 국일증권경제연구소 (2007) -앙드레 코스톨라니, 김재경 역 미래의 창 (2001..
부자란? 부자란? 사진 출처 : http://www.buildingin.com/m/post/3320 어느 경제학 책에서 부자의 정의를 보면 ‘자신의 현재 상황에 만족하여 더 이상의 금전적 욕심을 바라지 않는 사람이다’ 따위의 저술을 보았다. 이 논리에 의하면 30억이 있는 사람이건 3만원이 있는 사람이건 자아만족의 상태에 있다면 그들은 주관적으로 부자다. 수십~수백 조원을 가진 부자도 더 욕심을 부린다면 그는 절대 부자가 아니라는 이야기가 된다. 길거리의 거지들 중 득도의 경지에 다다른 거지에게 다가가서 ‘당신은 정말 부자인 것 같군요’라고 해보라. 거지에게서 산뜻한 귓방망이 쓰리쿠션 어퍼컷이 날라 올 것이다. 그의 정의와 현실은 약간 다르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게 된다. 주관적인 기준도 다른 사람의 객관적인 ..
앙드레 코스톨라니의 권고 사항과 금기사항 앙드레 코스톨라니의 권고 사항과 금기사항 앙드레 코스톨라니는 종목분석이나 발굴보다 똑같은 종목을 거래하는 투자자들의 심리에 의해 성패가 결정된다는 투자자들의 자세에 대한 투자심리의 신념을 가졌다. 물론 이것이 모든 투자자와 모든 상황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것이 아니다. 때에 따라서 누군가에게는 맞는 행동일 수도 있고 누군가에게는 자기 과신에 빠진 미련한 행동일 수도 있다. 하지만 앙드레 코스톨라니의 권고사항과 금기사항은 투자자들은 주식투자를 하며 반드시 갖추어야 할 교과서적인 기본덕목과도 같다고 필자는 생각한다. 앙드레 코스톨라니의 10가지 권고 사항 1. 매입 시기라고 생각되면 어느 업종의 주식을 매입할 것인지를 결정하라. 2. 압박감에 시달리지 않도록 충분한 돈을 가지고 행동하라. 3. 모든 일이 생..
필립 피셔가 꼽는 어떤 주식을 살 것인가? 필립 피셔가 꼽는 어떤 주식을 살 것인가?: 투자 대상 기업을 찾는 15가지 포인트 포인트 1. 적어도 향후 몇 년간 매출액이 상당히 늘어날 수 있는 충분한 시장 잠재력을 가진 제품이나 서비스를 갖고 있는가? 포인트 2. 최고 경영진은 현재의 매력적인 성장 잠재력을 가진 제품 생산라인이 더 이상 확대되기 어려워졌을 때에도 회사의 전체 매출액을 추가로 늘릴 수 있는 신제품이나 신기술을 개발하고자 하는 결의를 갖고 있는가? 포인트 3. 기업의 연구개발 노력은 회사 규모를 감안할 때 얼마나 생산적인가? 포인트 4. 평균 수준 이상의 영업 조직을 가지고 있는가? 포인트 5. 영업이익률은 충분히 거두고 있는가? 포인트 6. 영업이익률 개선을 위해 무엇을 하고 있는가? 포인트 7. 돋보이는 노사 관계를 갖고 있는가..
당신은 얼마나 알고 있는가? 당신은 얼마나 알고 있는가? 위의 과정을 통해 기본적 시장상황과 매매전략을 갖춘 투자자라면 이제 종목분석과 선별과정에 들어가야 한다. 물론 아래의 질문은 모든 기업이 같은 형태의 사업구조나 제품을 판매하지 않기 때문에 아래의 질문들이 모두 공통적으로 적용되지는 않을 것이고 불필요한 질문이나 필요한 질문이 빠진 것도 있을 것이다. 불필요한 질문은 그냥 넘어가면 되고 빠진 내용에 대해서는 투자자가 스스로 꼼꼼히 살펴보며 투자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1. ○○홀딩스?? → 지주회사가 지닌 강점은 무엇인가?→ 자회사가 우량한가? 혹은 불량한가?→ 자회사의 가치는 어떻다고 생각하는가?→ 중소형 지주회사의 강점이나 매력은 무엇인가?→ 자회사의 경영성과 전망은 어떻다고 보는가?→ (상장 되어 있을 경우) 자회사에 직..
일반투자자도 조금만 관심을 기울이면 된다. 일반투자자도 조금만 관심을 기울이면 된다. 일반투자자도 조금만 관심을 기울여서 살펴보게 되면 어떤 기업이 운영이 잘되고 있는 지를 경제적인 관점에서가 아닌 상식적인 직감만으로도 알 수 있다. 물론 전문적인 애널리스트들처럼 기업의 가치를 수치화하거나 논리적으로 설명을 할 수는 없어도 자신의 직감과 관찰로 기업이 어느 정도 성장과 수익을 달성할 것인 지를 판단 할 수 있을 것이다. A종목 B종목 시가총액 1,000억 10,000억 매출액 500억 1,000억 외국인취득률(%) 1% 12% 부채비율 160% 10% 주식투자를 하거나 기업을 분석 할 때 공식 따위는 필요 없다. 아직도 전문가甲이 B종목이 좋다고 하니 B종목에 투자할 것인가? 투자자는 간단하게 생각해도 되고 복잡하게 생각해도 된다. 직접 투자하는..
잃지 않는 투자법 잃지 않는 투자법 주식투자를 하는 대부분의 개인투자자들은 자신이 주식투자를 하는 이유나 목적이 불명확하다. 단지 주위에서 들은 높은 수익에 혹해서 자신도 단기간에 높은 수익을 보고 싶어서 주식투자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혹은 초심을 망각한 체 불타는 복수심이나 도전의식 속에서 주식투자를 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그들이 자신의 실력을 갈고 닦고 노력이라도 하면 좋을텐데 이러한 과정을 생략한 체 아무것도 모르거나 책 한두권 읽고 주식시장을 이기려고 덤벼든다. 당신이 주식투자를 이제 시작하려고 하는 초보투자자이거나 몇 년을 주식투자를 한 잔뼈가 굵은 투자자라면 아래의 질문에 대답을 할 수 있어야 한다. 한 개도 빠짐없이 대답을 할 수 있어야 주식투자에 임할 준비가 된 것이다. 한 가지라도 미흡하다면 종..
상대비교를 해서 골라야 한다. 상대비교를 해서 골라야 한다. 주식투자를 하다보면 고평가, 저평가라는 말은 너무 많이 듣게 된다. 그런데 과연 내가 투자하고자 하는 종목이 고평가인지 저평가인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단지 종목의 기본적인 몇몇 수치를 보고 판단해야 할까? 업종평균 수치를 보고 비교해서 판단해야 할까? 또 동종 업종의 다른 종목을 봐야하지 않을까? 투자자들이 종목을 분석하다가 한 종목에 필이 꽂히게 되면 다른 생각(?)을 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그렇다면 처음에 투자를 하기 전에 종목 선택을 제대로 해야 한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잘못된 선택으로 인한 저주(?)에 빠질 가능성이 높다. 그 위기를 벗어나기 위해서 투자자는 한 종목에 올인해서 절대비교를 하는 것이 아닌 상대비교를 통해서 종목을 선택하고 투자를 해야 한다. 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