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언 (104) 썸네일형 리스트형 吟風咏月 : 음풍영월 ~ 吟風弄月 : 음풍농월 吟風咏月 : 음풍영월(吟 : 읊을 음 風 : 바람 풍 咏 : 읊을 영 月 : 달 월)맑은 바람을 읊조리고 밝은 달을 보며, 시를 짓고 흥취를 자아내어 즐겁게 함.=음풍농월(吟 : 읊을 음 風 : 바람 풍 弄 : 희롱할 농 月 : 달 월) 倚閭之望 : 의려지망(倚 : 의지할 의 閭 : 이문 려 之 : 갈 지 望 : 바랄 망)어머니가 문에 기대어 자식이 돌아오기를 마음 조이며 기다리는 것. 以管窺天 : 이관규천(以 : 써 이 管 : 피리 관 窺 : 엿볼 규 天 : 하늘 천) 대롱을 통해 하늘을 봄. 우물안 개구리.좁은 소견으로 사물을 살펴 보았자 그 전체의 모습을 파악할 수 없다. 이관규천 유래 춘추시대 말기의 일이다. 뒷날 동양 의학의 원조(元祖)이자 의성(醫聖)으로도 일컬어지는 편작(扁鵲)이 괵이라는 나.. 人生無常 : 인생무상 ~ 因果應報 : 인과응보 人生無常 : 인생무상(人 : 사람 인 生 : 날 생 無 : 없을 무 常 : 항상 상) 인생이 덧없음을 이르는 말 因人成事 : 인인성사(因 : 인할 인 人 : 사람 인 成 : 이룰 성 事 : 일 사) 남의 힘으로 일을 이룸. 仁者無敵 : 인자무적(仁 : 어질 인 者 : 놈 자 無 : 없을 무 敵 : 원수 적) 어진 사람에게는 적이 없음 人之常情 : 인지상정(人 : 사람 인 之 : 갈 지 常 : 항상 상 情 : 정 정) 사람이 누구나 가지는 보통의 인정. 一擧兩得 : 일거양득(一 : 한 일 擧 : 들 거 兩 : 두 양 得 : 얻을 득) 한 가지 일을 하여 두 가지의 이득을 봄. = 一石二鳥(일석이조) 一騎堂千 : 일기당천(一 : 한 일 騎 : 말탈 기 堂 : 집 당 千 : 일천 천)한 사람이 천 사람을 당한.. 一視同仁 : 일시동인 ~ 一絲不亂 : 일사불란 一視同仁 : 일시동인 (一 : 한 일 視 : 볼 시 同 : 같을 동 仁 : 어질 인) 모두를 평등하게 보아 똑같이 사랑함. 일시동인 유래 이 말은 唐(당)나라의 유명한 문장가 韓愈(한유)가 지은 [原人(원인)]이라는 글 가운데 있다. “즉 성인은 모든 사람을 똑같이 보고 똑같이 사랑하기 때문에 가까운 사람에게도 알뜰히 하고 먼 데 있는 사람들도 다 같이 그 재주에 따라 이를 등용시킨다.” ≪禮記(예기)≫ 禮運篇(예운편)에서 공자는, “큰 도가 행해지면 사람은 자기 부모만을 부모로 생각하지 않고, 자기 자식만을 자식으로 생각하지 않는다”라고 하고 이것이 곧 大同(대동)이라고 했는데, 일시동인은 대동의 사상과 통하는 데가 있다. ‘一視同人(일시동인)’으로 풀이하는 사람도 있다. 똑같은 사람으로 본다는 뜻이다.. 一筆揮之 : 일필휘지 ~ 一片丹心 : 일편단심 一筆揮之 : 일필휘지(一 : 한 일 筆 : 붓 필 揮 : 휘두를 휘 之 : 갈지)글씨나 그림을 한숨에 죽 쓰거나 그림. 一攫千金 : 일확천금(一 : 한 일 攫 : 붙잡을 확 千 : 천 천 金 : 쇠 금) 힘 안 들이고 한꺼번에 많은 재물을 얻음. 臨渴掘井 : 임갈굴정(臨 : 임할 임 渴 : 목마를 갈 掘 : 팔 굴 井 : 우물 정)목이 말라서야 우물을 팜. 곧 미리 준비하여 두지 않고 있다가 일이 급해서야 허둥지둥 서둠. 臨時方便 : 임시방편(臨 : 임할 임 時 : 때 시 方 : 모 방 便 : 편할 편) 필요에 따라 그 때 그 때 정해 일을 쉽고 편리하게 치를 수 있는 수단. 臨戰無退 : 임전무퇴(臨 : 임할 임 戰 : 싸움 전 無 : 없을 무 退 : 물러날 퇴) 싸움에 임하여 물러섬이 없음. 立身揚名 .. 自業自得 : 자업자득 ~ 自我省察 : 자아성찰 自業自得 : 자업자득(自 : 스스로 자 業 : 업 업 自 : 스스로 자 得 : 얻을 득) 자기가 저지른 일의 과보를 자기 자신이 받음. 自中之亂 : 자중지란(自 : 스스로 자 中 : 가운데 중 之 : 갈 지 亂 : 어지러울 란) 같은 패 안에서 일어나는 싸움. 自暴自棄 : 자포자기(自 : 스스로 자 暴 : 사나울 포 自 : 스스로 자 棄 : 버릴 기) 절망 상태에 빠져서, 스스로 자신을 포기하여 돌아보지 아니함. 自畵自讚 : 자화자찬(自 : 스스로 자 畵 : 그림 화 自 : 스스로 자 讚 : 기릴 찬) 자기가 그린 그림을 자기 스스로 칭찬함. 곧, 자기가 한 일을 자기 스스로 자랑함. 作心三日 : 작심삼일(作 : 지을 작 心 : 마음 심 三 : 석 삼 日 : 날 일) 한번 결심한 것이 사흘을 가지 않음... 戰戰兢兢 : 전전긍긍 ~ 田園將蕪 : 전원장무 戰戰兢兢 : 전전긍긍(戰 : 싸울 전 戰 : 싸울 전 兢 : 삼갈 긍 兢 : 삼갈 긍)몹시 두려워하여 벌벌 떨면서 조심함. 輾轉反側 : 전전반측(輾 : 구를 전 轉 : 구를 전 反 : 되돌릴 반 側 : 곁 측)근심이 있어 뒤척거리며 잠을 못 이룸. 前程萬里 : 전정만리(前 : 앞 전 程 : 단위 정 萬 : 일만 만 里 : 거리 리) 나이가 젊어 장래가 유망함. 轉禍爲福 : 전화위복(轉 : 구를 전 禍 : 재화 화 爲 : 할 위 福 : 복 복)언짢은 일이 계기가 되어 오히려 좋은 일이 생김. 截長補短 : 절장보단(截 : 끊을 절 長 : 길 장 補 : 기울 보 短 : 짧을 단)긴 것을 끊어 짧은 것에 보탬. 즉 장점으로 단점을 보충함. 切磋琢磨 : 절차탁마(切 : 끊을 절 磋 : 갈 차 琢 : 쫄 탁 磨 :.. 朝三暮四 : 조삼모사 ~ 左衝右突 : 좌충우돌 朝三暮四 : 조삼모사(朝 : 아침 조 三 : 석 삼 暮 : 저물 모 四 : 넉 사)눈앞에 당장 나타나는 차별만을 알고 그 결과가 같음은 모르는 것을 비유하는 말. 鳥足之血 : 조족지혈(鳥 : 새 조 足 : 발 족 之 : 갈 지 血 : 피 혈 )새 발의 피. 즉 필요한 양에 비해 너무도 적은 보잘 것 없는 분량. 左顧右眄 : 좌고우면(左 : 왼 좌 顧 : 돌아볼 고 右 : 오른 우 眄 : 애꾸눈 면) 좌우를 자주 둘러본다는 뜻으로 무슨 일에 얼른 결정을 짓지 못함을 비유함. 坐不安席 : 좌불안석(坐 : 않을 좌 不 : 아니 불 安 : 편안할 안 席 : 자리 석) 마음에 불안이나 근심 등이 있어 한자리에 오래 앉아 있지 못함. 坐井觀天 : 좌정관천(坐 : 않을 좌 井 : 우물 정 觀 : 볼 관 天 : 하늘 .. 竹杖芒鞋 : 죽장망혜 ~ 竹馬故友 : 죽마고우 竹杖芒鞋 : 죽장망혜 (竹 : 대 죽 杖 : 지팡이 장 芒 : 까끄라기 망 鞋 : 신 혜) ①대지팡이와 짚신. ②가장 간단한 보행이나 여행의 차림. 衆寡不敵 : 중과부적(衆 : 무리 중 寡 : 적을 과 不 : 아닐 불 敵 : 원수 적) 적은 수의 사람으로써 많은 수의 사람을 대적하지 못한다는 뜻. 衆口難防 : 중구난방(衆 : 무리 중 口 : 입 구 難 : 어려울 난 防 : 둑 방)여러 사람의 말을 막기 어렵다는 뜻. 중구난방 유래 주(周)나라 제10대 여왕(勵王)은 폭군이었다. 정사를 비방하는 자가 있으면 적발해서 죽였다. 더욱이 밀고자를 포상하는 제도를 만들어 충신들이 많이 죽었다. 신하들과 백성들은 공포정치에 질려 말도 제대로 할 수 없게 되었다. 사마천의 『사기』 「주 본기」에 소공(召公)이 충간한.. 이전 1 ··· 7 8 9 10 11 12 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