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언 (104) 썸네일형 리스트형 杜門不出 : 두문불출 ~ 南柯一夢 : 남가일몽 杜門不出 : 두문불출(杜팥배나무 두 門문 문 不아니 불 出날 출) 세상과 인연을 끊고 출입을 하지 않음. 두문불출 유래 두문동(杜門洞)은 경기도 개풍군 광덕산 서쪽의 골짜기를 이르는 말로서, 고려 말기의 유신(遺臣)들이 조선에 반대하여 벼슬살이를 거부하고 은거하여 살던 곳으로 유명하다. 이성계가 역성혁명을 일으킨 뒤 1392년 7월 16일에 공양왕의 선위 형식을 빌려 조선 국왕에 즉위하자 고려의 유신 72인이 끝까지 고려에 충성을 다하고 지조를 지키기 위하여 이른바 부조현(不朝峴)이라는 고개에서 조복을 벗어던지고 이곳에 들어와 새 왕조에 출사하지 않았다. 이때 조선 왕조는 두문동을 포위하고 고려 충신 72인을 불살라 죽였다고 전해지고 있다. 두문동에 관한 기록은 조선 순조 때 당시 72인의 한 사람인 성.. 博而不精 : 박이부정 ~ 萬壑千峰 : 만학천봉 博而不精 : 박이부정(博 : 넓을 박 而 : 말 이을 이 不 : 아닌가 부 精 : 쓿은 쌀 정)널리 알되 능숙하거나 정밀하지 못함.☆독서에 있어서 정독(精讀)의 중요성을 뜻하는 말로 자주 쓰임. 拍掌大笑 : 박장대소(拍 : 칠 박 掌 : 손바닥 장 大 : 큰 대 笑 : 웃을 소) 손바닥을 치면서 크게 웃음. 博學多識 : 박학다식(博넓을 박 學배울 학 多많을 다 識알 식) 학문이 넓고 식견이 많음. 盤溪曲徑 : 반계곡경(盤 : 소반 반 溪 시내 계 曲 : 굽을 곡 徑 : 지름길 경) 정당하고 평탄한 방법으로 하지 않고 그릇되고 억지스럽게 함을 이르는 말. 反目嫉視 : 반목질시(反 : 되돌릴 반 目 : 눈 목 嫉 : 시기할 질 視 : 볼 시)눈을 흘기면서 밉게 봄. = 백안시(白眼視) 反哺之孝 : 반포지효(.. 四顧無親 : 사고무친 ~ 百花爛漫 : 백화난만 四顧無親 : 사고무친 (四 : 넉 사 顧 : 돌아볼 고 無 : 없을 무 親 : 친할 친) 친척이 없어 의지할 곳 없이 외로움 . →四顧無人(사고무인) 四面楚歌 : 사면초가 (四 : 넉 사 面 : 낯 면 楚 : 나라 초 歌 : 노래 가) 한 사람도 도우려는 자가 없이 고립되어 곤경에 처해 있음. 사면초가 유래 산을 뽑을 만큼의 힘과 기세를 가지고 있었던 초나라 항우가 한나라 유방과 싸울 때의 일이다. 항우가 유방의 군사에게 포위되었을 때, 유방은 자신의 한나라 군사들에게 초나라 노래를 부르게 했다. 동서남북 사방에서 초나라 노래가 들려오자 항우는 초나라 백성이 모두 붙잡혀 포로가 된 줄 알고, 전세가 돌이킬 수 없을 정도로 기울어졌음을 절감한다. 이때가 서기전 202년이다. 원문 출처 : http://te.. 首邱初心 : 수구초심 ~ 山海珍味 : 산해진미 首邱初心 : 수구초심(首 : 머리 수 邱 : 땅이름 구 初 : 처음 초 心 : 마음 심) 여우가 죽을 때 고향 쪽으로 머리를 둔다는 고향을 생각하는 마음을 말함. 壽命長壽 : 수명장수(壽 : 목숨 수 命 : 목숨 명 長 : 길 장 壽 : 목숨 수) 수명이 길어 오래도록 삶. 壽福康寧 : 수복강녕(壽 : 목숨 수 福 : 복 복 康 : 편안할 강 寧 : 편안할 녕) 오래 살고 복되며, 몸이 건강하고 편안함. 手不釋卷 : 수불석권(手 : 손 수 不 : 아닐 불 釋 : 풀 석 卷 : 쇠뇌 권) 손에서 책을 놓지 않음. 곧 열심히 공부함. 首鼠兩端 : 수서양단(首 : 머리 수 鼠 : 쥐 서 兩 : 두 양 端 : 바를 단) 구멍에서 머리만 내밀고 이리저리 엿보는 쥐, 즉 어할 바를 몰라 머뭇거리며 자기의 행방을 결.. 阿鼻叫喚 : 아비규환 ~ 始終一貫 : 시종일관 阿鼻叫喚 : 아비규환(阿 : 언덕 아 鼻 : 코 비 叫 : 부르짖을 규 喚 : 부를 환)여러 사람이 심한 고통으로 울부짖는 참상. 我田引水 : 아전인수(我 : 나 아 田 : 밭 전 引 : 끌 인 水 : 물 수)자기에게만 이롭게 하려는 것. = 제 논에 물대기 安分知足 : 안분지족(安 : 편안할 안 分 : 나눌 분 知 : 알 지 足 : 발 족) 편한 마음으로 제 분수를 지키며 만족을 앎. 安貧樂道 : 안빈낙도(安 : 편안할 안 貧 : 가난할 빈 樂 : 즐길 낙 道 : 길 도)가난한 생활 가운데에서도 편안한 마음으로 도(道)를 즐기며 삶. 眼下無人 : 안하무인(眼 : 눈 안 下 : 아래 하 無 : 없을 무 人 : 사람 인)사람됨이 교만하여 남을 업신여김. 藥房甘草 : 약방감초(藥 : 약 약 房 : 방 방 甘.. 五里霧中 : 오리무중 ~ 養虎遺患 : 양호유환 五里霧中 : 오리무중(五 : 다섯 오 里 : 마을 리 霧 : 안개 무 中 : 가운데 중)짙은 안개 속에서 길을 찾기 어려운 것과 같이, 일의 갈피를 잡기 어려움. 오리무중 유래 중국 후한시대에 장해(張楷)라는 학자가 있었다. 그는 학문에 뛰어나 제자만 해도 수백 명에 이르렀고, 유명한 학자들도 그를 만나보기 위해 모여들었다. 그런데도 장해는 한 번도 벼슬길에 오르지 않은 채, 고향에 있는 홍농산이라는 계곡에 들어가 혼자 살았다. 그러자 많은 학자들이 그를 뒤따라 홍농산 기슭에 사는 바람에 마을이 생길 정도였다. 그런데 이 장해는 학문만이 아니라 도술에도 뛰어나 5리까지 안개를 일으킬 수도 있었다. 나라에서 그에게 벼슬하라고 사신을 보내면 그는 5리까지 안개를 일으켜 그 속에 숨어버리곤 했다. 여기서 오리.. 龍頭蛇尾 : 용두사미 ~ 搖之不動 : 요지부동 龍頭蛇尾 : 용두사미(龍 : 용 용 頭 : 머리 두 蛇 : 뱀 사 尾 : 꼬리 미)처음 출발은 야단스럽게, 끝은 보잘 것 없이 흐지부지 되는 것. 龍尾鳳湯 : 용미봉탕(龍 : 용 용 尾 : 꼬리 미 鳳 : 봉새 봉 湯 : 넘어질 탕) 맛이 썩 좋은 음식을 가리키는 말 . 龍蛇飛騰 : 용사비등(龍 : 용 용 蛇 : 뱀 사 飛 : 날 비 騰 : 오를 등)용과 뱀이 하늘로 날아오름. 살아 움직이듯이 매우 활기 있게 잘 쓴 필력을 이르는 말. 愚公移山 : 우공이산(愚 : 어리석을 우 公 : 공변될 공 移 : 옮길 이 山 : 뫼 산) 어리석게 보이는 일도 꾸준하게 끝까지 한다면 아무리 큰 일이라도 할 수 있다. 牛溲馬勃 : 우수마발(牛 : 소 우 溲 : 반죽할 수 馬 : 말 마 勃 : 우쩍 일어날 발)"소 오줌과.. 有口無言 : 유구무언 ~ 韋編三絶 : 위편삼절 有口無言 : 유구무언(有 : 있을 유 口 : 입 구 無 : 없을 무 言 : 말씀 언) 입은 있으나 말이 없다는 뜻으로 변명을 못함을 이름. 類萬不同 : 유만부동(類 : 무리 유 萬 : 일만 만 不 : 아니 불 同 : 같을 동) 모든 것이 서로 같지 아니함. 有名無實 : 유명무실(有 : 있을 유 名 : 이름 명 無 : 없을 무 實 : 열매 실) 이름뿐이고 실상은 없음. 有備無患 : 유비무환(有 : 있을 유 備 : 갖출 비 無 : 없을 무 患 : 근심 환) 미리 준비가 있으면 뒷걱정이 없다는 뜻. 唯我獨尊 : 유아독존(唯 : 오직 유 我 : 나 아 獨 : 홀로 독 尊 : 존귀할 존) 이 세상에는 나보다 더 높은 사람이 없다고 뽐냄. 有耶無耶 : 유야무야(有 : 있을 유 耶 : 어조사 야 無 : 없을 무 耶 .. 이전 1 ··· 6 7 8 9 10 11 12 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