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고기'인가 '쇠고기'인가, '예'인가 '네'인가
: 모두 맞음(복수 표준어)
소고기/쇠고기, 소기름/쇠기름, 예/네
'깡총깡총'인가, '깡충깡충'인가
: '깡충깡충'이 맞음
깡충깡충(<깡총깡총), 오뚝이(<오똑이)
'세째'인가, '셋째'인가
: '셋째'가 맞음
둘째, 셋째, 넷째
'깨뜨리고'인가, '깨트리고'인가
: 모두 맞음
깨뜨리다/깨트리다, 넘어뜨리다/넘어트리다, 무너뜨리다/무너트리다
성명이 아닌 고유명사의 띄어쓰기
(가) 대한 중학교(원칙), 대한중학교(허용)
※ 고유명사는 붙여 쓸 수 있음
(나) 한국 상업 은행 재동 지점 대부계(원칙), 한국상업은행 재동지점 대부계(허용)
※ 기구나 조직을 나타내는 말은 구성 단위별로 붙여 쓸 수 있음
(다) 대통령 직속 국가 안전 보장 회의(원칙), 대통령 직속 국가안전보장회의(허용)
※ '부설(附設), 부속(附屬), 직속(直屬), 산하(傘下)' 따위는 앞뒤의 말과 띄어 씀이 원칙이나 아래 (다)처럼 특정 기관을 가리키는 명칭의 일부로 쓰일 때에는 붙여 쓸 수 있음
(다) 서울 대학교 사범 대학 부속 고등 학교(원칙),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허용)
'이, 그, 저, 아무, 여러'와 의존명사가 결합한 말의 띄어쓰기
: 다음 말 외에는 띄어 씀.
(가) 이것, 그것, 저것 / 이분, 그분, 저분 / 이이, 그이, 저이 / 이자, 그자, 저자 / 이년, 그 년, 저년 / 이놈, 그놈, 저놈
(나) 이쪽, 그쪽, 저쪽 / 이편, 그편, 저편 / 이곳, 그곳, 저곳 / 이때, 그때, 저때
(다) 이번, 저번 / 그동안, 그사이
(라) 아무것, 아무데 / 어느새
'드리다', '시키다' 등의 띄어쓰기
: 접미사이므로 붙여 씀.
(가) 감사하다/감사드리다, 인사하다/인사드리다
※ '-하다'의 경어형으로 쓰이는 '-드리다' 는 접미사이므로 붙여 씀.
(나) 오해받다, 봉변당하다, 훈련시키다
※ '-하다'로 끝나는 동사는 피동접사나 사동접사가 붙지 못한다. 따라서 '받다, 당하다, 시키다' 등이 붙어 피사동접사의 기능을 대신한다. 따라서 이 경우의 '받다, 당하다, 시키다'는 접사화한 것으로 보아 붙여 쓴다.
(다) 관련짓다, 결론짓다 / 문제삼다, 장난삼다 / 사고나다, 소문나다 / 정성들이다, 공들이다
'상식 > 맞춤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음 말들은 각각 구별하여 적는다.(한글 맞춤법 제 57항) (0) | 2015.06.26 |
---|---|
'제(第)'의 띄어쓰기 (0) | 2015.06.26 |
'회의중'인가, '회의 중'인가 (0) | 2015.06.26 |
자문(諮問)과 주책(<主着) (0) | 2015.06.26 |
'-데'와 '-대'의 구분 (0) | 2015.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