뒷편 ⇒ 뒤편
사이시옷은 다음과 같은 예에 받치어 적는다. (한글 맞춤법 제30항)
(1)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예
[1]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예) 고랫재, 귓밥, 나룻배, 나뭇가지, 냇가
[2] 뒷말의 첫소리 `ㄴ, ㄹ'앞에서 `ㄴ'소리가 덧나는 것
(예) 멧나물, 아랫니, 텃마당, 아랫마을
[3]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ㄴ', 'ㄴ' 소리가 덧나는 것
(예) 도리깻열, 두렛일, 뒷일, 베갯잇, 나뭇잎
(2)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예
[1]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예) 귓병, 머릿방, 전셋집, 아랫방, 횟가루
[2] 뒷말의 첫소리 `ㄴ,ㅁ'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는 것
(예) 곗날, 제삿날, 훗날, 툇마루, 양칫물
[3]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ㄴ ㄴ' 소리가 덧나는 것
(예) 가욋일, 사삿일, 예삿일, 훗일
(3) 두 음절로 된 다음 한자어
(예) 곳간(庫間), 셋방(貰房), 숫자, 찻간, 툇간, 횟수
숫소⇒ 수소, 숫병아리⇒ 수평아리
(1) 머리가락(×)/머리카락(0), 안밖(×)/안팎(0), 숫닭(×)/수탉(0), 숫병아리(×)/수평아리(0)
(2) 수퀑,숫꿩(×)/수꿩(0), 숫소(×)/수소(0), 숫놈(×)/수놈(0)
(3) 수양(×)/숫양(0), 수염소(×)/숫염소(0), 수쥐(×)/숫쥐(0)
어휘들은 비숫한 구조로 되어 있는(특히 동물 이름) 어휘들이 발음이 달라 혼동되는 경우이다. (1)에서는 ‘ㅎ’이 두 말 사이에 들어가 아랫말의 첫소리 ‘ㄱ,ㄷ,ㅂ’을 거센소리 ‘ㅋ,ㅌ,ㅍ’으로 변화시켜 발음되는 대로 적는 경우이다. 이러한 어휘들은 대부분 앞말이 옛말에서 ‘ㅎ’끝소리를 가지고 있던 어휘들이다.
문제는 (2), (3)의 경우인데 (2)는 ‘ㅎ’과 결합하여 거센소리를 이루지 않는 첫소리를 가진 낱말이 붙은 경우(수놈)와 된소리나 거센소리를 이루지 않는 첫소리를 가진 낱말이 붙은 것(수꿩)은 앞말을 ‘수’로 적는 경우이다. (3)의 경우, ‘숫쥐’와 같은 것은 ‘ㅈ’을 첫머리로 가진 낱말이 결합될 때 아랫말이 거센소리로 발음되지 않는 게 일반적인 현상이므로 ‘숫’으로 표기하는 것이고 ‘숫양’의 경우는 ‘야, 여, 요, 유, 이’로 시작된 낱말이 붙어서 ‘ㄴ’음이 첨가되는 경우는 일반적인 사이시옷 표기법에 따라 ‘숫’으로 표기하는 것이다. (한글 맞춤법 제 31 항, 표준어 규정 7항)
아지랭이 ⇒아지랑이, 신출나기 ⇒신출내기
(1) 호랭이(×)/호랑이(0), 멕이(×)/먹이(0), 아지랭이(×)/아지랑이(0)
(2) 신출나기(×)/신출내기(0), 남비(×)/냄비(0)
‘ㅣ’ 역행동화란, 후설모음 ‘ㅏ,ㅓ,ㅗ,ㅜ’이 그 뒤에 이어지는 전설모음 ‘ㅣ’에 동화되어 전설모음 ‘ㅐ,ㅔ,ㅢ,ㅟ’로 바뀌어 발음되는 현상을 말한다. 그런데 이러한 역행동화는 수의적 현상이다. 이를테면 ‘호랑이’의 경우 나이 든(노년)층에서는 역행동화가 이루어진 ‘호랭이’로 발음하지만 젊은(청소년)층에서는 ‘호랑이’라 발음하는 것이다. 그런데 보통 발음이 굳어져 어원적 형태를 인식하지 못할 경우 바뀐 형태대로 표기하고, 원형이 유지되는 경우는 원형을 밝혀 적는 것이 맞춤법의 기본 원칙이다. 더군다나 ‘ㅣ’역행동화인 경우는 수의적 현상이므로 (1)과 같이 역행동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형태를 표준으로 삼는 것이다. 그러나 (2)의 경우는 굳어진 말을 표준으로 삼은 것이다. ( 표준어 규정 9항)
‘못하다’와 ‘못∨하다’
(1)‘못하다’(형용사) : 비교격조사 ‘보다’뒤와 의존명사 ‘만’ 뒤에 오는 ‘못하다’는 붙여씀
그녀는 너보다 못하다. 백 번 듣는 것보다 한 번 보는 것보다 못하다. 그 문제를 풀지 못했다. 살림이 전 만 못하다.
(2) ‘못∨하다’ : 이 때의 ‘못’은 부정부사로 띄움.
그 일을 이제까지 끝내지 못∨했다.
'상식 > 맞춤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계 연도, 회계 년도 (0) | 2015.06.18 |
---|---|
있다가와 이따가 (0) | 2015.06.18 |
밧데리 배터리 표준어는?! (0) | 2015.06.08 |
오똑이⇒ 오뚝이 (0) | 2015.04.03 |
계시판 ⇒ 게시판(揭示板) (0) | 2015.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