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똑이⇒ 오뚝이
'-하다'나 `-거리다'가 붙는 어근에 `-이'가 붙어서 명사가 된 것은 그 원형을 밝히어 적는다.(한글 맞춤법 제 23항)
(예) 꿀꾸리⇒ 꿀꿀이, 발바리⇒ 발발이, 살사리⇒ 살살이, 오뚜기⇒ 오뚝이
`-하다'나 `-거리다'가 붙을 수 없는 어근에 `-이' 또는 다른 모음으로 시작되는 접미사가 붙어서 명사가 된 낱말은 그 원형을 밝히어 적지 아니한다.
(예) 개구리 귀뚜라미 기러기 깍두기
일찌기⇒일찍이, 더우기⇒더욱이
'-하다'가 붙는 어근에 '-히'나 '-이'가 붙어서 부사가 되거나, 부사에 '-이'가 붙어서 뜻을 더하는 경우에는 그 어근이나 부사의 원형을 밝히어 적는다. (한글맞춤법 제25항)
'-하다'가 붙는 어근에 '-히'나 '-이'가 붙는 경우
급히 꾸준히 도저히 딱히 어렴풋이 깨끗이
[단] '-하다'가 붙지 않는 경우에는 반드시 소리대로 적는다
예)갑자기 반드시(꼭) 슬며시
부사에 '-이'가 붙어서 역시 부사가 되는 경우
예) 곰곰이 더욱이 생긋이 오뚝이 일찍이 해죽이
'세 살배기'인지 '세 살바기'인지?
(가) 세 살배기 아이
(나) 나이배기 : 보기보다 나이가 많아 보이는 사람을 얕잡아 이르는 말.
※ 국어의 각 단어는 다른 단어들과 여러가지 관계를 맺고 있는데, 서로 연관된 단어들은 표기상으로도 그 관련성이 드러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즉 "의미상으로 관련된 단어는 표 기상으로도 관련되게"라는 원리가 존재한다고 생각해도 좋을 것이다. 그런데 이 단어와 관련된 단어로 "겉보기보다 나이가 많이 든 사람"을 가리키는 '나이배기'가 있다. 따라서 이 단어의 표기는 기존의 '나이배기'를 고려하여 '-배기' 형태를 표준으로 정하였다.
'잇달다'와 '잇따르다'의 구분: 일종의 복수 표준어
(가) 기관차에 객차들을 잇달았다.
※ "이어 달다"의 뜻일 때는 '잇달다'만 가능함
장군은 훈장에 훈장을 잇단 복장으로 등장하였다.
(나) 청문회가 끝난 뒤에 증인들에 대한 비난이 잇따랐다/잇달았다/?연달았다.
※ "어떤 사 건이나 행동 따위가 이어 발생하다"의 뜻일 때는 '잇달다, 잇따르다, 연달다'를 함께 쓸 수 있음.
잇따른/잇단(←잇달-+-ㄴ)/?연단(←연달-+-ㄴ) 범죄 사건들 때문에 밤길을 다니기 두렵다.
석교를 지나자마자 초가 지붕의 꼴을 벗지 못한 주점과 점포들이 잇따라/잇달아/연달아 나타났다.
※ '연달다'는 주로 '연달아' 꼴로 쓰임.
(나) 대통령의 가두행진에 보도 차량이 잇따랐다/?잇달았다/?연달았다.
유세장에 유권자들이 잇따라/?잇달아/?연달아 몰려들었다.
※ "움직이는 물체가 다른 물체 의 뒤를 이어 따르다"라는 뜻일 때에는 '잇따르다'가 자연스러움.
※ 같은 동사이지만 '잇따르다'에 비해 '잇달다, 연달다'는 다소 형용사에 가까운 특성이 있음('잇따르는/?잇다는/??연다는', '잇따른다/?잇단다/??연단다', '잇따르고 있다/?잇달고 있다/??연달고 있다' 참조). 다만 '잇달다'가 "이어 달다"의 뜻일 때에는 '잇다는, 잇달고 있다'가 가능함.
'맞는'과 '알맞은'의 구분: '맞다'는 동사, '알맞다, 걸맞다'는 형용사
(가) 맞는(○), 맞은(×) <동사>
(나) 알맞는(×), 알맞은(○) <형용사>
※ '걸맞다'도 형용사임. '분위기에 걸맞은 옷차림' 참고.
※ 맞지 않는 일 / 알맞지 않은 일
'어떡해'와 '어떻게'의 구분
(가) 지금 나 어떡해. / *이 일을 어떡해 처리하지?
※ '어떡해'는 "어떻게 해"가 줄어든 말.
(나) 너 어떻게 된 거냐. / 이 일을 어떻게 처리하지?
※ '어떠하다'가 역사적으로 줄어 '어떻다'가 됨.
'제상'인가, '젯상'인가: 양쪽 모두 한자(어)일 때에는 그 사이에 사이시옷을 적지 않음
(가) 제상(祭床): 제사 때 제물을 차려 벌여 놓는 상.
(나) 초점(焦點), 대가(代價), 개수(個數), 내과(內科), 화병(火病), 소수(素數)
(나) 예외: 곳간(庫間), 셋방(貰房), 숫자(數字), 찻간(車間), 툇간(退間), 횟수(回數)
※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거나 뒷말의 첫소리 'ㄴ, ㅁ'이나 모음 앞에 'ㄴ' 소리가 덧나는 합성어 중에서 '고유어+고유어(아랫집, 나뭇잎), 고유어+한자어(귓병, 깃발), 한자어 +고유어(전셋집, 예삿일)' 방식에는 사이시옷을 적고, '한자어+한자어' 방식에는 사이시옷 을 적지 않는다. [참고] '전세방(傳貰房)'과 '전셋집(傳貰-)'
'상식 > 맞춤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숫소⇒ 수소, 숫병아리⇒ 수평아리 (0) | 2015.06.12 |
---|---|
밧데리 배터리 표준어는?! (0) | 2015.06.08 |
계시판 ⇒ 게시판(揭示板) (0) | 2015.04.03 |
절름바리 ⇒절름발이 (0) | 2015.04.03 |
꺼꾸로 ⇒거꾸로 (0) | 2015.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