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561)
헷갈리는 맞춤법 다른 뜻2 헷갈리는 맞춤법 다른 뜻2 다리다: 옷이나 천의 주름살을 다리미로 펴다. (옷을 다리다) 달이다: 끓여서 진하게 하다. (약을 달이다) 닫치다: '닫다'의 힘줌말. (입 닫쳐라, 문을 꼭 닫치고 들어온다) 닫히다: '닫다'의 피동형. (문이 닫히다) 달리다: 붙어 있다. (감이 달렸다), 의존하다. 좌우되다. (네게 달렸다), 모자라다. (자금이 달린다, 힘이 달린다)딸리다: 어떤 것이 매이거나 붙다. (딸린 식구, 닭은 꿩과에 딸려 있다) 담그다: 액체 속에 넣다. (강물에 손을 담그다), 장이나 김치 따위를 만들다. (김치를 담그다)담다: 그릇 안에 넣다. (컵에 물을 담다) 당기다: 끌어서 가까이 오게 하다. (손을 잡아 당기다), 줄을 팽팽하게 하다. (기타 줄을 당기다)댕기다: 불을 옮아 붙게 ..
헷갈리는 맞춤법 다른 뜻1 헷갈리는 맞춤법 다른 뜻1 가늠하다: 기준에 맞는지 안 맞는지 헤아려 보다. 짐작하다. 가름하다: 구분하다. 서로 가르다. 갈음하다: 다른 것으로 대신하다. 가량: 수량을 어림쳐서 나타내는 말. 쯤. (열 명 가량 된다) 가령: 예를 들면. 이를테면. 만약. (가령 그와 결혼한다면) 가르치다: 지식 따위를 알도록 하다. 가리키다: 손가락 등으로 지적하다. 가없다: 그지없다. 헤아릴 수 없다. (가없는 부모님 은혜) 가엾다: 불쌍하고 딱하다. (가엾은 처지) 가죽: 동물의 몸을 싸고 있는 껍질. (호랑이 가죽) 거죽: 물체의 겉 부분. (살거죽, 나무 거죽) 가진: '가지다'의 활용형. (가진 것이 없다) 갖은: 골고루 갖춘. 가지가지의. (갖은 양념을 다 넣다) 각: 관형사로 각각의, 낱낱의. (각 직장..
매슬로우의 피라미드이론(매슬로우의 욕구 계층이론) 매슬로우의 피라미드이론(매슬로우의 욕구 계층이론) 세상에 사는 모든 사람은 언제나 다양한 욕구를 갖고 살아간다. 물론 사람마다 욕구에 대한 순위가 다르다. 또한 어떤 사람은 특정 욕구에 대해서는 강한 집착 또는 무관심을 가질 수 있다. 주식투자자는 주식투자를 하는 이유가 무엇 때문인가? 주식투자를 게임이라고 생각하고 게임처럼 즐겁게 즐기는 투자자들은 의외로 별로 없다. 그렇다면 과연 투자자들은 어떤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이 어렵고 괴로운 주식투자를 계속할까? 20세기 미국의 심리학자이자 철학자인 에이브러햄 매슬로우(Abraham H. Maslow, 1908 ~ 1970)는 인간욕구의 5단계를 제시했다. 이를 통칭 매슬로우의 인간욕구계층이론이라고 하여 모든 인간은 욕구를 갖고 있고 그것을 피라미드처럼 계..
제6장 투자성향 파악하기 제6장 투자성향 파악하기 투자성향 파악하기 동의수세보원이라는 이제마의 저서는 1894년에 저술했다. 그는 이 책에서 인체를 그 기질과 성격에 따라 사상(四象)으로 나누고 질병을 치료하는데 있어서는 증상보다도 오히려 사람의 체질에 중점을 두고 시술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제마의 사상의설에는 인간의 체질에 따라 태양인, 태음인, 소양인, 소음인으로 사람을 구분 짓는다. 이처럼 투자자에게도 4가지의 기본적인 유형이 있다. 주식투자에도 투자자에 맞는 체질이나 성향에 따라 주식투자를 해야 한다. 이 4가지 유형은 위험 회피형, 위험 회피·중립형, 위험 선호·중립형, 위험 선호형으로 종목을 선택할 때에 활용해 볼 수 있다. 성향 선택 위험 회피형 대형주, 배당주 위험 회피·중립형 ↑ 위험 선호·중립형 ↓ 위험 ..
※다음 말들은 각각 구별하여 적는다.(한글 맞춤법 제 57항) ※다음 말들은 각각 구별하여 적는다.(한글 맞춤법 제 57항) 가름 : 둘로 가름갈음 : 새 책상으로 갈음하였다. 거름 : 풀을 썩인 거름걸음 : 빠른 걸음 거치다 : 영월을 거쳐 왔다.걷히다 : 외상값이 잘 걷힌다. 걷잡다 : 걷잡을 수 없는 상태.겉잡다 : 겉잡아서 이틀 걸릴 일. 그러므로(그러니까) : 그는 부지런하다. 그러므로 잘 산다.그럼으로(써) : 그는 열심히 공부한다. 그럼으로(써) 은혜에 (그렇게 하는 것으로) 보답한다. 노름 : 노름판이 벌어졌다.놀음(놀이) : 즐거운 놀음 느리다 : 진도가 너무 느리다.늘이다 : 고무줄을 늘인다.늘리다 : 수출량을 더 늘린다. 다리다 : 옷을 다린다.달이다 : 약을 달인다. 다치다 : 부주의로 손을 다쳤다.닫히다 : 문이 저절로 닫혔다.닫치다 : 문을..
'제(第)'의 띄어쓰기 '제(第)'의 띄어쓰기: 접두사이므로 붙여 씀 (가) {제1 장, 제1장, 제 1장}, {제3 과, 제3과, 제 3과} (나) 제2 차 세계 대전, 제3 대 학생 회장 ※ '제(第)-'는 한자어 수사에 붙어 차례를 나타내는 접두사인데, 접두사는 단어가 아니므로 항상 뒷말과 붙여 쓴다. 이 경우에 적지 않은 사람들이 '제 1과'처럼 띄어 쓰기도 하는 데 이는 길게 발음되는 '제(第)-'의 발음을 좇아 잘못 띄어 쓴 것이다. 띄어쓰기는 발음에 따라 하는 것이 아니라 단어별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아무리 길게 발음이 되더라도 그것이 단어가 아니라면 띄어 써서는 안 된다. 한편 [한글 맞춤법] 제43항에서는 순서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단위명사와 그 앞의 수관형사를 붙여 쓸 수 있도록 하는 규정이 있다. 따라서 위..
'소고기'인가 '쇠고기'인가 '소고기'인가 '쇠고기'인가, '예'인가 '네'인가: 모두 맞음(복수 표준어) 소고기/쇠고기, 소기름/쇠기름, 예/네 '깡총깡총'인가, '깡충깡충'인가: '깡충깡충'이 맞음 깡충깡충(
'회의중'인가, '회의 중'인가 '회의중'인가, '회의 중'인가: 한 단어로 굳어진 경우가 아니면 '중(中)'을 띄어 씀. (가) 학생 중에, 꽃 중의 꽃 (나) 회의 중에는 사담을 하지 말 것 / 다리를 건설 중이다 (나) 지금 [중요한 회의] 중이오니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 ※ 구 뒤에 '중'이 붙는 예 (다) 은연중, 무의식중, 한밤중 ⇒ 한 단어로 굳어진 말 '안되다/안 되다', '못되다/못 되다', '못하다/못 하다'의 띄어쓰기: 부정문으로 쓰인 경우가 아니면 붙여 씀. (가) 마음이 안되다 / 시험에 실패했다니 참 안되었다. [형용사] (가) 일이 안 되다 / 시간이 아직 안 되었다. (나) 못된 친구 / 행동이 못되다 / 심보가 못되다 [형용사] (나) 외교관이 못 된 것을 비관하다 / 떠난 지 채 1년이 못 되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