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235) 썸네일형 리스트형 자금관리(Money Management) 자금관리(Money Management) 자금관리는 투자자들이 자신이 수용가능한 수준의 파산확률을 생각하고 그것을 유지하면서 트레이딩을 해야 할 트레이딩의 크기와 포트폴리오의 비중을 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 한편 가격쇼크에 노출되는 정도를 관리하는 차원에서 총 포지션의 크기를 제한하는 등의 방법으로 수익 기대치를 극대화하는 기술도 의미한다. 앞서 설명한 켈리의 법칙과 마틴게일 법칙 외에 다른 방법을 사용하거나 응용하여 사용하는 투자자들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자금관리의 기술적 매매는 위험을 즐기는 단기트레이더들에게 더욱 중요할 것이다. 기본적인 가격변동 상황에서 자신의 현금비중에 대한 것도 모르거나 생각하지 아니한 체 단기투자를 외치던 단기 투자자들은 나중에는 처음부터 자신은 중기투자자나 장기투자자였.. 자금관리(Money Management) 이론 자금관리(Money Management) 이론 주식투자에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비율분배를 하는 것은 아주 중요하다. 자신이 투자하는 종목에 대한 확신(수익을 거둘 확률)에 따른 자금관리는 곧 비중을 결정 짓게 된다. 이로 인해서 투자자에게는 심리적 안전마진을 갖게 되고 수익과 밀접한 영향을 미치는 아주 중요하고 승패를 결정짓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다. 투자자가 자신의 현금성 투자 자금이 바닥(?) 날 때까지 투자를 한다는 전제 하에서 자금 관리는 꼭 필요하기 때문에 적절한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수 있어야 한다. 한두 번의 수익이나 손실을 거두면 주식투자를 더 이상 하지 않겠다는 투자자에게는 자금관리는 크게 필요 없을 수도 있다. 왜냐하면 그들은 한두 종목에 자신의 모든 투자금을 한 번에 몰빵해서 베팅을 .. 넓은 시야와 식별력을 갖춘 안목이야말로 정직함과 책임감, 그리고 현명한 선택을 가져다 주는 기본이다. 넓은 시야와 식별력을 갖춘 안목이야말로 정직함과 책임감, 그리고 현명한 선택을 가져다 주는 기본이다. - 존 템플턴 - 세상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정직하고 책임감 있는 태도만 갖고 살아서는 절대 성공할 수는 없다. 다른 사람과는 다른 현명한 선택을 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한다. 그리고 그것은 남들과는 다른 눈으로 세상을 바라볼 수 있는 세상에 대한 넓은 시야와 식별력에서 비롯된다. 성공하는 이들이 세상에 대한 넓은 시야와 식별력은 다른 사람과 다르게 똑같은 사물이나 현상을 보고 다르게 생각할 수 있는 안목과 같은 통찰력을 통해서 드러나게 된다. 하지만 단지 통찰력만을 갖고 있다고 절대 성공할 수는 없다. 성공을 이루기 위해서는 그 통찰력을 지킬 수 있는 우직함도 필요하다. 또한 그들에게는 정직함, 책.. 인생의 목표를 지향하면서 지혜롭게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은 마음의 평화와 함께 궁극적인 보답을 가져다 준다. 인생의 목표를 지향하면서 지혜롭게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은 마음의 평화와 함께 궁극적인 보답을 가져다 준다. - 존 템플턴 - 인생과 주식투자는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인생에서 성공을 이루는 사람은 자신이 정한 목표를 위해 일관성을 유지하며 소신을 갖고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사람들이다. 주식투자에 성공을 이룬 사람도 자신이 생각한 것을 지키며 일관성을 유지한 체 포지션을 지키는 투자자들이다. 인생에 있어 올바른 철학을 갖춘 사람은 투자에서도 그런 올바른 철학의 가치가 드러나게 된다. 주식투자를 기본적으로 장기투자를 바탕으로 생각하고 높은 수익을 거두는 사람들에게는 마음의 평화와 함께 수익을 거둘 수 있다는 것에 대한 믿음과 주위 사람들의 잔소리에 신념을 꺾이거나 부화뇌동하지 않는다. 어떤 상황이나 이.. 고유가는 경제나 주식시장을 망치지 않는다. 고유가는 경제나 주식시장을 망치지 않는다. 경제성장이 석유의 수요를 부르고, 그래서 가격이 올라가는 것이다. 투자자들은 원인과 결과를 거꾸로 생각하고 있다. - 켄 피셔 - 주식시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라면 아마도 금리일 것이다. 금리와 더불어서 환율은 주식시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다고 봐야 한다. 하지만 그 외의 시장지표로 보는 유가, 금시세, 원자재 등은 특정 업종 내지는 기업에는 영향을 미칠지 모르나 주식시장에 크게 영향을 끼칠 만큼은 아니라고 본다. 그 이유는 어떤 특정 원자재 값이 오른다면 그것에 상응하는 물품의 가격이 크게 올라간다는 것을 의미하고 그것은 주식시장에 존재하는 특정 종목이나 기업의 가격하락이나 반대 급부를 가진 종목이나 기업의 가격상승을 의미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 투자자들이 차별화된 사업전략도 없는 멍청한 회사에 높은 가격을 지불한다면, 그것은 투자자들의 잘못이지 회사의 잘못이 아니다. 투자자들이 차별화된 사업전략도 없는 멍청한 회사에 높은 가격을 지불한다면, 그것은 투자자들의 잘못이지 회사의 잘못이 아니다. - 켄 피셔 - 주식시장에서 누가 기업의 주가를 가지고 고평가나 저평가라고 말하는 것은 실제로 아무런 의미가 없다. 전문가들이 숫자를 가지고 계산한 회사의 가치 평가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주식시장의 투자자들이 그 회사에 얼마냐 열광하느냐에 달려있을 뿐이다. 투자자들이 아무런 사업전략도 없고 이상한 기업에 투자를 한다고 해도 그것은 투자자들의 선택일 뿐이다. 아무것도 없는 회사라고 한들 투자자들이 그 기업을 둘러싼 루머나 테마를 좋아한다면 그 어떤 전문가가 고평가라고 아무리 떠들어 봤자 투자자들에게는 아무런 소용도 없다. 아무리 멍청하고 말도 안되는 것이라도 투자자들의 논리에 맞는 .. 무조건 "싼 주식"을 산다고 해서 높은 투자수익률을 올릴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무조건 "싼 주식"을 산다고 해서 높은 투자수익률을 올릴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반드시 좋은 주식을 매수해야 한다. - 존 템플턴 - 주식시장에서 수익을 거두는 가장 간단한 원칙인 싸게 사서 비싸게 팔면 된다. 이것이 끝이다. 정말 너무도 간단하지 않은가? 그렇다면 왜 수많은 투자자들이 주식투자에 실패를 할까? 설마 주식이 싼지 비싼지 모를 정도로 멍청이들만 있기 때문일까?! 대부분의 실패하는 투자자들은 무조건 싼 주식만을 찾아 헤매고 싼 주식만을 산다. 심지어 그들 중에는 주식투자를 한지 몇 년이 지났지만 아직도 현재가와 시가총액을 구분할 줄 모르는 사람도 있다. 이런 류의 투자자들이 사는 주식은 가격이 싼 주식이 아니라 그냥 주가가 저렴한 쓰레기주일 수도 있다. 주식투자로 수익을 거두기 위해서는 싸게.. 자금 관리법 자금 관리법 “쌀 때 사서 비쌀 때 판다”는 정말 단순한 논리로 접근하면 주식투자만큼 쉬운 게 없다. 하지만 현재 주가가 싼지 비싼지를 맞추는 것은 누구나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현재 주가가 싼지 비싼지를 판단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판단하면 된다. 그래도 싸다고 생각하고 산 주식은 바닥을 뚫고 지하로 내려가 버린다. 또한 비싸다고 생각하고 팔았던 주식은 천정을 뚫고 구름을 넘어 지구를 벗어나 버릴 것 같다. 이런 식의 막연한 자세로 투자를 해서는 위기나 기회가 왔을 때 대응하는데 분명한 한계를 가진다. 당장 내일 주식이 오를 것인지 내릴 것인지 확률로 따진다면 50대 50이다. 오히려 단기적으로 내일 오를지 내릴지를 맞추는 것은 더 어렵지만 장기적으로 오를지 내릴지를 판단하는 것은 훨씬 쉽다. 이것이 .. 이전 1 ··· 15 16 17 18 19 20 21 ··· 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