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주식

(235)
심리 관리법 심리 관리법 주식투자를 하는 투자자에게는 때를 기다려 매수할 수 있는 기다림과 때를 기다리며 매도할 수 있는 인내가 필요하다. 주식투자를 물고기를 잡는 낚시에 비유해 보자. 어떻게 보면 주식투자라는 것은 강태공이 강에 낚싯대를 드리우고 물고기가 미끼를 물기 기다리며 낚시를 하며 세월을 낚는 것처럼 여유 있는 마음을 갖고 있어야 한다. 단지 물고기를 많이 잡고 싶은 급한 마음에 깊은 물속으로 잠수하여 물고기를 쫓는다고 한들 얼마나 많은 물고기를 잡겠는가? 우리는 미래소년 코난이 아니다! 죽창을 가지고 바다 속의 물고기를 절대로 잡을 수 없다! 물고기가 살지도 않는 곳에서 낚싯대를 드리우고 기다리면 물고기가 잡히겠는가? 물고기를 잘 잡기 위해서는 물고기가 잘 다니는 길목에서 낚싯대를 드리우고 기다려야 한다...
제5장 어떻게 하는 게임인가? 제5장 어떻게 하는 게임인가? 우보호시(牛步虎視) 주식투자는 어찌보면 돈이나 머리보다는 인내와의 싸움이다. 가치투자의 대가인 워렌 버핏의 경우는 “20년 이상을 장기투자한다”고 말했다. 그 말은 20년 동안 인내하며 기업이 무르익을 때까지 기다리며 수익을 올린다는 것을 의미하는 말이다. 어떤 주식 책을 보고 어떤 주식에 대한 고수를 만나더라도 그들의 성공한 원칙에 “인내”라는 단어가 절대 빠지지 않는다. 혹은 인내라는 단어 대신에 다른 단어를 통해서 우회적으로 표현하는 분들도 있다. 예를 들자면 앙드레 코스톨라니와 같은 투자자는 “주식을 산 후 약국에 가서 수면제를 먹고 잠을 자라”고 하였다. 물론 이것은 뇌동매매에 관해서 언급하는 부분에 나오지만 필자는 수면제를 먹고 잠을 자는 것처럼 자신이 투자한 회..
자신의 트레이딩 결과에 책임을 져라 자신의 트레이딩 결과에 책임을 져라 간접투자가 아닌 직접투자를 하는 투자자라면 자신의 행위에 책임감을 느껴야 한다. 주식투자에 실패해서 아무리 징징거린다고 누가 나타나서 당신의 손실을 메워주고 떨어진 종목의 주가를 당신의 원금이 회복 될 때까지 올려주지 않는다! 방송에 전화해서 전문가들에게 “얼마나 걸릴까요?”, “얼마나 오를까요?”라고 물어보지 마라. 그들도 솔직히 모른다! 물론 당신에게 듣기 좋은 말을 해주고 주가도 올려주고 싶지만 그들도 힘이 없다. 직접 주식투자에 나서 트레이딩을 하는 투자자는 절대 시장 뒤에 숨을 수 없다! 숨으려고 해서도 안 된다. 전쟁터에 나간 군인이 아군 뒤에 숨어서 총을 쏠 수 있는가? 실전투자자라면 시장 뒤에 숨는다하여 그들의 돈을 누구에게도 보상 받을 수 없다. 주식투..
일괄 매수와 분할 매수의 차이 일괄 매수와 분할 매수의 차이 종목의 분할 매수 기간(예 : 2011년 1월 2일~2011년 3월 31일)에 지속적으로 상승을 하였다면 1월 2일에 일괄 매수했을 때의 매수 단가보다 높은 가격에 거래된다고 매수를 주저할 필요는 없다. 이럴 경우 오히려 분할 매수가 일괄 매수보다 매수 단가를 높인다. 하지만 분할 매수라는 것은 시장 위험이나 업종 위험과 종목 자체적 내재 위험 등을 감안한 위험 관리 측면에 따른 추세 추종 매수 전략인 것이다. 반대로 분할 매수 기간에 지속적으로 하락했다면 일괄 매수를 했을 때보다 매수 단가가 낮아진다. 자신이 분할 매수하려고 했던 기업의 뉴스플로나 시장 상황을 보고 판단해야지 단지 주가가 하락하거나 상승한다고 아직 자금이 남았으니 무조건 사야 하는 것은 아니다. 살 때마다..
가치투자의 함정 가치투자의 함정 어느 기업의 미래가치를 두고 생각할 때 현재가치가 형편도 없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럴 경우 가치투자라는 관점에서 기업 실적이 뒷받침이 되어 시장에 주목을 받기 전까지는 주가는 저점에서 맴돌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만약 시장의 주목을 받기 전에 저가에 매수한 투자자는 주가가 상승 할 경우는 심리적 안전 마진을 비롯한 투자 수익은 상상을 초월하게 된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가치투자는 아무나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지금 당장 아기의 분유 값도 없고 전기세, 수도세도 못 내는데 기업의 몇 년 후의 미래를 내다보고 가치투자를 할 수 있을까? 또는 남의 돈까지 빌려서 이자를 꼬박꼬박 내며 몇 년에 걸친 가치투자를 고수할 수 있을까? 정상적인 생활이 될 것 같은가? 이런 투자자들의 인내력이 얼마나..
가치투자는 무엇일까? 가치투자는 무엇일까? 사람들이 흔히 말하는 가치투자는 장기투자라고 생각하면 된다. 일반적으로 가치투자는 주식시장에서 다른 투자자들에게 인정받기까지의 기간이 오래 걸릴 것이라고 사람들은 착각을 한다. 하지만 그것은 가치투자라는 용어가 장기간에 걸쳐야 된다는 고정관념일 뿐이다. 일부의 경우는 가치주 따로 성장주 따로 배당주 따로 분류하며 투자자들을 바보로 보는 사람들도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자산가치주, 성장가치주, 배당가치주가 올바른 표현이 아닐까? 가치라는 것은 투자자 마다 다른 여러 가지 의미를 내포하고 있고, 그 가치가 어떤 의미의 가치이든 그것을 미리 예상하고 투자하는 것이 바로 가치투자일 뿐이다. 투자자들이 흔히 말하는 가치투자에 있어서 PBR(주가순자산비율 : Price Book-value R..
IQ200을 찾는 전문가 IQ200을 찾는 전문가 주식투자에 등장하는 수많은 변수를 이해하고 분석을 하려면 아이큐가 높고 머리가 좋으면 당연히 다른 투자자들보다 유리하다. 하지만 주식투자에 나오는 변수 중에서 차트에 나오는 보조지표만도 수 백 가지가 넘는다. 주식투자에 나오는 모든 걸 다 이해하고 적용해야만 높은 수익을 거두는 건 결코 절대 아니다. 보조지표는 주가의 추세강도들을 객관적으로 정리한 수학적으로 계산하여 산출된 지표로 이동평균선, 이격도, 투자심리전, MACD, Stochastic, Bollinger band, OBV, CCI, MPI, ADX, BPDL, BWI, DEMA, DMI, DPO, HPI, MAC, MAO, PCR, PSAR, RMI, RSI, RVI, RWI 등등 종류도 수백 수천 가지이다.(이 책은 ..
엘리어트 파동이론 엘리어트 파동이론 주식시장에서 엘리어트 파동이론에 관하여 수많은 사람들이 끊임없는 논쟁을 벌여왔다. 필자도 처음에 엘리어트 파동이론을 접하고 그것을 연구하고 그것에 의해 차트를 분석하기 위해 수많은 밤을 지새웠다. 지금은 엘리어트 파동이론에 대하여 나름대로의 결론을 내리고 더 이상 밤을 지새우지는 않는다. 이 책의 목적이 기술적 분석에 대한 것은 아니지만 주식시장에 통용되고 많은 전문가들이 주식투자의 비기(?)처럼 자주 언급하며 종목 추천의 이유로도 자주 거론하기 때문에 언급하고 넘어가야겠다. 물론 필자가 쓰는 부분의 엘리어트 파동이론의 극히 일부분에 불과하다. 그렇기 때문에 엘리어트 파동이론을 제대로 알고 싶은 분은 책을 사서 직접 처음부터 끝까지 읽어보고 스스로 판단을 내려보길 바란다. 1930년대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