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주식투자의 정석

트레이더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트레이더





트레이더는 리스크를 전문적으로 거래하는 투자자들이다. 기본적으로 이들이 거래하는 리스크는 유동성(Liquidity)리스크와 가격(Stock price)리스크라고 할 수 있다. 



유동성리스크란 주식 투자자들이 사거나 팔 수 없는 상황이다. 사고 싶어도 못 사는 상한가와 팔고 싶어도 팔 수 없는 하한가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주식시장을 보호하기 위한 가격제한폭제도(상한가, 하한가)가 오히려 소규모의 자금으로 상한가를 만들며 투자자들의 추종매매에 의해 가격변동성만을 키우며 오히려 투자자들의 유동성리스크를 부추기고 있다. 즉, 당신이 특정 주식(자산)을 팔려고 하는데 당신이 팔려는 가격에 이를 살 사람이 없거나 주식(자산)을 사려고 하는데 팔 사람이 없는 경우다. 매수자들과 매도자들 중에 어느 일방이 양보해야 거래가 이루어지고 가격변동이 이뤄진다는 매매의 기본이 바로 주식의 기본 섭리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유동자산(Liquid Asset)인 주식은 쉽게 그리고 빨리 현금화 할 수 있는 자산이다. 그런데 이런 유동 자산의 유동성만큼 가격변동의 폭과 변화는 기본적은 다른 투자수단에 비해 크다고 할 수 있다. 스프레드(Spread) 혹은 매수매도호가차이는 매도호가와 매수호가의 두 가격의 차이를 말한다. 예를 들어 30,000원에 파는 사람과 29,000원에 사는 사람 사이에 발생하는 가격의 차이가 스프레드이다. 파는 사람들이 31,000원에 샀건 50,000원에 샀건 그건 중요한 것이 아니다! 지금 사려는 사람들은 29,000원 이상의 돈을 지급하고 싶지 않다는 것이다!



이러한 매매를 통해서 이익을 내는 차익거래라는 유동성 간의 거래를 통해 수익을 내는 방법이 있다. 즉, 트레이더들은 이러한 유동자산이 갖는 유동성리스크를 해소해주거나 극대화를 통해서 투자자들의 투자심리를 자극하여 거래를 촉발시킴과 동시에 스프레드가 갖는 위험성을 감내하고 배팅하여 차익 거래를 성사시켜 수익을 거두는 것이다. 



29,000원에 사고 싶어 하던 사람의 투자심리를 자극해서 30,000원에라도 사게 만들어야 한다. 그들의 조바심을 자극하여 투자하게끔 만들어 내면 된다. 단기적 매수매도호가차이를 이용하는 스캘핑부터 데이트레이더들이 주로 사용하는 매매방법이 바로 유동성리스크를 이용하는 매매법이다. 



차익거래를 원하는 주식 투자자들은 투자성향에 따라 그들이 감내하는 리스크도 다르다. 이것을 가격리스크라 한다. 즉, 가격리스크란 가격이 급격히 상승하거나 하락할 가능성이 있는 종목을 의미한다. 속칭 종목을 구분하는 대중소에 따라 가격리스크는 역으로 소중대를 갖고 있다고 보면 된다. 시가총액의 대소로 구분 짓는 것이지만 그 안에 숨겨진 리스크도 생각하고 투자에 임해야 한다. 




 

트레이딩 경험이 쌓이면서 인지적 편향의 존재를 인식하게 되고 실제 시장 자료를 반영하는 쪽으로 사고방식을 바꿔나가는 과정이 반복되다 보면 어느새 이러한 지향점이 자신의 삶의 다른 부분에도 영향을 미치기 시작한다. 성공한 트레이더가 실패한 트레이더와 다른 점이 있다. 성공한 트레이더는 남과 달라지는 것을 전혀 두려워하지 않으며 모든 이들이 하는 행동과는 다른 어떤 일을 하면서 자신만의 길을 찾아간다. [각주:1]




 


일반적으로 High Risk-High Return이라고 하면 대부분의 투자자들은 높은 위험은 높은 수익을 의미한다고 생각하고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위험이 높을수록 돌아오는 수익은 높다는 듯이 말을 하며 장밋빛 전망에만 주안점을 두고 수익률만을 강조한다. 하지만 이것만 있는 것은 아니고 높은 위험은 높은 손실을 발생할 수도 있다. 대체로 높은 위험을 내포한 종목은 그 만큼 단기적인 관점에서 투자를 하는 투자자들이 집중되어 있음으로 인한 변동성이 여타 종목에 비해 매우 높게 나타난다. 앞서 말한 비유동적 투자자들보다 유동적 투자자들의 비중이 높다는 것이고 이것은 곧 대주주나 큰손이 아니더라도 장기적으로 보유하고 투자하는 장기성향의 투자자들보다 단지 이슈나 테마 등에 의해 단기적으로 보유하는 단기성향의 투자자들이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이들은 추세추종이든 무슨 기법에 의한 것이든 단기적으로 높은 수익을 바라고 투자하지만 그러한 가격변동성의 움직임이 없을 경우에는 가차 없이 손절매라도 하고 즉시 떠날 준비가 기본적으로 되어 있는 사람들이다.



High Risk는 가격이 하락할 때 그것을 받아줄 지지기반이 그만큼 약하다는 의미일 뿐이다. 이런 높은 리스크를 내포한 종목에 포트폴리오 비중에서 너무 많은 자금을 집중하여 투자하는 것은 자신의 투자성향이나 트레이딩에 맞아야 리스크가 내포한 변동성을 감내할 수 있을 것이다. 자신의 투자성향이나 트레이딩 방법을 파악하지 아니하고 남들을 따라하거나 누가 시키는 대로 높은 수익률만을 생각하고 변동성이 큰 종목에만 투자를 한다는 것은 기본적으로 시장과 종목이 갖고 있는 가격리스크에 투자리스크를 더욱 높이는 잘못된 투자이다. 






항상 승리하는 트레이더가 있다는 것은 제 무덤을 파서 손실을 입거나 심리적인 착각으로 잘못된 행동을 하는 사람들이 시장에 일정한 수만큼 존재한다는 사실을 나타낸다. 효율적이어야 하는 시장에서 특정 트레이더에게 명백히 유리한 상황이 생기는 것을 ‘이상 현상 Anomaly’이라고 한다. 항상 이기는 트레이더는 미래의 주가를 점치는 마법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통계적으로 유리한 확률로 이길 수 있는 기회를 발견하는 기술을 터득하고 있는 것이다. [각주:2]

 





특정 종목을 쥐락펴락하는 세력이 아닌 트레이더는 언제나 확률로 승부를 한다. 그들은 유동성리스크와 가격리스크가 있는 종목을 찾아서 떠돌며 단기적 매매로 적은 수익률을 목표로 하루에도 수십 번씩 주가의 움직임을 보며 사고팔아 수익을 낸다. 



30,000원에 샀건 29,000원에 샀건 그 종목이 내년에 6만이 될 거라 예상하고 배팅하는 장기적 투자자에게 이 정도의 가격스프레드는 크게 중요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트레이더에게는 30,000원에 사느냐 29,000원에 사느냐는 아주 중요한 문제이다. 즉 30,000원에 샀는데 29,000원으로 떨어진다면 바로 손절매하고 빠져나와야 한다. 반대로 29,000원에 샀는데 30,000원으로 올랐다면 바로 팔아 수익실현을 해야 한다. 그들에게 내일은 없기 때문에 오늘 30,000원에 사느냐 29,000원에 사느냐는 아주 중요한 문제이고 오늘 30,000원에 샀다면 주가를 31,000원으로 만들어서라도 수익을 내야하고 그렇지 않다면 오늘의 수익은 거둘 수 없기에 29,000원에 손절매를 하고 나와야 한다. 이들이 수익을 거둘 수 있는 기본은 이러한 가격스프레드와 상관없이 매수를 하는 투자자들이 있기 때문이다. 



  1. 커티스 페이스, 이은주 역 <<터틀의 방식 Way of the turtle>> 이레미디어 (2010) 344p [본문으로]
  2. 다치바나 아키라, 오시연 역 <<겁쟁이를 위한 주식투자>> 북스넛 (2012) 93p [본문으로]

'주식 > 주식투자의 정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준점은 현재  (0) 2015.01.25
장기투자  (0) 2015.01.25
차트와 패턴의 함정  (0) 2015.01.03
전문 직종이 비웃는 트레이딩  (0) 2015.01.03
단기투자  (0) 2015.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