숫소⇒ 수소, 숫병아리⇒ 수평아리
뒷편 ⇒ 뒤편 사이시옷은 다음과 같은 예에 받치어 적는다. (한글 맞춤법 제30항) (1)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예 [1]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예) 고랫재, 귓밥, 나룻배, 나뭇가지, 냇가 [2] 뒷말의 첫소리 `ㄴ, ㄹ'앞에서 `ㄴ'소리가 덧나는 것 (예) 멧나물, 아랫니, 텃마당, 아랫마을 [3]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ㄴ', 'ㄴ' 소리가 덧나는 것 (예) 도리깻열, 두렛일, 뒷일, 베갯잇, 나뭇잎 (2)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예 [1]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예) 귓병, 머릿방, 전셋집, 아랫방, 횟가루 [2] 뒷말의 첫소리 `ㄴ,ㅁ'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는 것 (예) 곗날, 제삿날, 훗날, 툇마루, ..
계시판 ⇒ 게시판(揭示板)
계시판 ⇒ 게시판(揭示板) '계', '례', '몌', '폐', '혜'의 'ㅖ'는 'ㅔ'로 소리나는 경우가 있더라도 'ㅖ'로 적는다. [ 한글 맞춤법 8항](예) 페품(x) ->폐품 (o), 헤택 (x) -> 혜택 (o) 다만, 다음 말은 본음대로 적는다. (예) 게송(偈頌), 게시판(揭示板), 휴게실(休憩室) 달달이⇒다달이 끝소리가 'ㄹ'인 말과 딴 말이 어울릴 때에 'ㄹ'소리가 나지 않는 것은 안 나는 대로 적는다. (한글 맞춤법 제28항 ) (예) 다달이(0)/달-달-이(×), 따님(0)/딸-님(×), 마소(0)/말-소(×), 열두째(0)/열둘-째(×), 싸전(0)/쌀-전(×) '설겆이, 반듯이, 아뭏든, 어떻든'인지 '설거지, 반드시, 아무튼, 어떠튼'인지? (가) 설거지, 아무튼, 반드시[必]("..
꺼꾸로 ⇒거꾸로
꺼꾸로 ⇒거꾸로 한 단어 안에서 뚜렷한 까닭 없이 나는 된소리는 다음 음절의 첫소리를 된소리로 적는다. (한글 맞춤법 제5항) (1) 두 모음 사이에서 나는 된소리 (예) 소쩍새, 어깨, 오빠, 가끔, 거꾸로 (2) 'ㄴ, ㄹ, ㅁ, ㅇ'받침에서 나는 된소리 (예) 산뜻하다, 잔뜩, 살짝, 훨씬 다만, 'ㄱ, ㅂ ' 받침 뒤에서 나는 된소리는 같은 음절이나 비슷한 음절이 겹쳐 나는 경우가 아니면 된소리로 적지 않는다. (예) 국쑤⇒국수, 갑짜기⇒갑자기, 법썩⇒법석, 깍뚜기⇒깍두기, 몹씨⇒몹시 왠일이니⇒웬일이니 '어찌 된'의 뜻은 '웬'이 바릅니다. '왜'는 '부사'나 '감탄사'로 쓰이며'ㄴ'과 결합할 수 없습니다. 단, '왜 (일본)+는'의 줄임말로 '왠'을 사용할 수 있으나 잘 쓰지 않습니다. 예) 웬..